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말글마당] 알쏭달쏭한 '사이시옷'

好學 2010. 7. 31. 12:19

 

[말글마당] 알쏭달쏭한 '사이시옷'

글을 쓸 때 헷갈리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사이시옷'이다.
최대값 최댓값, 등교길 등굣길, 나루배 나룻배, 구두방 구둣방, 전세집 전셋집.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 단어에는 모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우리 말의 사이시옷 규정은 사실 상당히 어렵다.
말글 전문가들도 어떨 때는 틀리게 쓰기 십상이다. 그것은 사이시옷 쓰임이 완전히 규칙적인 것이 아니고 중세 국어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나름대로 체계를 잡아 규정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한글맞춤법(제30항)에 나와 있는 사이시옷 쓰임에 대한 몇 가지 규정을 알아두면 사이시옷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순 우리말로 이루어진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나뭇가지, 조갯살)
△뒷말의 첫소리 '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잇몸, 텃마당)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나뭇잎, 베갯잇) 따위가 있다.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자릿세, 아랫방)
△뒷말의 첫소리 '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제삿날, 곗날)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예삿일, 훗일(뒷일)) 등이 있다.

그리고 한자어에서는 예외적으로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6개 외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대가(代價) 초점(焦點) 시가(時價) 개수(個數)로 써야 하고, 된소리로 발음돼도 총무과 관리과 이비인후과 등으로 쓴다. 또 버스표, 택시값 등 외래어와 한자어 또는 외래어와 우리말로 된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사이시옷 규정이 있지만'머리말'과'머리글자'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으면서'머릿돌''머릿기름'에는 사이시옷을 사용하니 우리 말이지만 정말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