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교(天道敎) 천도교(天道敎) 조선 후기 1860년(철종 11)에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를 교조(敎祖)로 하는 동학(東學)을 1905년 제3대 교조 손병희(孫秉熙)가 천도교로 개칭한 종교. 【창도과정】 최제우는 전통적 유교 가문에서 태어나 지방의 유학자로 이름이 높았다. 조선 후기는 국내 적으로는 외척(外戚)의 세도정..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9.02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안명준박사 한국개혁신학회 발표 I. 서론 II. 알라 개념의 연구사 III. 알라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 IV.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 V. 알라의 속성들에 대한 이해 VI. 알라 개념에 나타난 여러 문제점 VII. 결론 서론 포스..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9.02
원시신앙(애니미즘, 정령숭배, 토테미즘, 샤머니즘) 원시신앙(애니미즘, 정령숭배, 토테미즘, 샤머니즘) 애니미즘(animism) 무생물계에도 영혼이 있다고 믿는 세계관. 물신숭배(物神崇拜)·영혼신앙(靈魂信仰) 또는 만유정령설(萬有 精靈說)이라고도 번역되는 애니미즘이라는 말은 라틴어의 아니마(영혼)에서 나온 말이다. 영국의 인류학 자 E.B.타일러가 ..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9.02
원불교(圓佛敎) 원불교(圓佛敎) 1916년 전북 익산시(益山市)에서 소태산(小太山) 박중빈(朴重彬)이 개창한 불교의 한 유파. 우주의 근본원 리인 일원상(一圓相, 즉 ∥의 모양)의 진리를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는 종교로,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세계를 실현시키려는 이상을 내세우..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9.02
대종교 (大倧敎) 대종교 (大倧敎) 한민족(韓民族)의 시조인 단군(檀君)을 받드는 한국 고유의 종교. 역사 대종교는 한국의 민족기원 신화에서 비롯되었으며, 교리에 민족의 정통사상과 철학을 담고 있다. 옛 상원갑자년(上元甲子年) 상달 상날(10. 3)에 하느님이 홍익인간·이화세계(理化世界)의 큰 뜻을 지상에 실현하고..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8.24
힌두교 Hinduism 힌두교 Hinduism 힌두교(산스크리트어: सनातन धर्म Sanātana Dharma, Hinduism)은 고대 인도에서 발생한 종교의 하나로서 기독교와 이슬람 다음 가는 세계의 큰 종교의 하나이다 (신자수는 2005년 9억 4천만명). 힌두교의 발생은 고대 인도의 종교 사상인 베다에서 비롯되며, 베다의 사상은 기원전 1500년..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8.24
남묘호랑게교 남묘호랑게교 일본불교의 한 부파인 일련정종 (창가학회)입니다 일본불교의 한 부파인 `일련정종(日蓮正宗)`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 종파는 특히 불경의 하나인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데, `법화경에 귀의한다`는 독송 `나무묘법연화경`의 일본식 발음이 `남묘호렌케`라고 들려서 종파 이름이 와..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7.27
메소포타미아 종교 메소포타미아 종교 오랜 예날부터 (서기전7000년경) 넓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는 역사의 동이 트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메소포타미아에는 서기전 3500년 경부터 역사가 시작되었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그 지방 사람들은 글을 만들어 쓰기 시작하였다. 그것을 수멜(Sumer) 문화라고 부르며, 그 때에 벌..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7.27
도교 (道敎 Taoism) 도교 (道敎 Taoism) 개요 중국의 전통적인 철학사상 및 종교. 도가사상은 유교사상과 더불어 2,000년 동안 중국과 그 주변국의 생활과 사상을 형성해온 중국 고유의 종교철학이다. 도가사상의 특징은 실용주의적인 유교와는 달리 현실세계에 대한 신비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이론에 있다. 도가에 대한 ..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6.20
유교 (儒敎, Confucianism) 유교 (儒敎, Confucianism)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 (BC 551경~479경)가 창시한 사상. 공자가 죽자 추종자들에 의해 8개 학파로 나뉘었으며, 그들은 각각 공자의 가르침을 가장 정통으로 계승했다고 자처했다. 공자의 사상과 가르침은 〈논어〉에 잘 나타나 있으며, 맹자(BC 371경~289경)는 공자의 가르침을 더.. 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200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