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歷史,宗敎,哲學/(역사)韓國敎會史

한국교회사(10)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好學 2009. 9. 6. 22:34

한국교회사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3. 개신교의 한국 전래를 위한 노력
1) 중국을 통한 한국 선교의 시도

(3) 알렉산더 윌리엄슨(Alexander Williamson)

비록 토마스 선교사가 한국 선교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지만, 한국 선교에 대한 노력은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토마스 선교사를 한국에 파송했던 알렉산더 윌리엄슨이었다. 윌리엄슨은 스코틀랜드인으로서 일찍이 런던선교회 소속선교사로서 1855년에 중국에 와서 그리피스 존(Griffis John) 등과 같이 상해에서 선교하던 중, 토마스 목사의 생사도 알아 볼 겸 한국 사정을 알려고 1867년 만주에 내왕하는 한인들과 두 차례 접촉하였다. 윌리엄슨은 4월에 요동 지방의 잉체코에서 한국인 상인들
과 여행자들에게 진리의 말씀과 서적들을 주면서, 더불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그 달 19일에는 천장대에서 귀국 도상의 한국 동지사 일행을 만나, 이들이 가지고 있는 기독교에 관한 지식에 놀랐다. 만다린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동지사는 북경에서 여러 선교사들을 만났으며 런던선교회도 방문했다는 사실을 일러주었다. 이 사람이 로버트 토마스를 만났었다고 하는 사실을 1866년 4월 4일 날짜의 토마스의 서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동지사 일행이 방금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북경에서 다른 외국인들보다 훨씬 이들과 친숙할 수 있었다는 것이 나에게는 더할 수 없는 기쁨입니다. 조선에 관한 지식 그리고 조선말을 할 수 있다는 조건 때문에 저들이 묵고 있는 공적인 숙소에 아주 쉽게, 환영을 받으면서 왕래할 수가 있었습니다.”라고 하였다.

윌리엄슨은 상당한 정도의 한국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로버트 토마스를 통해서 얻은 지식과, 자신이 직접 만난 두 사람의 조선인 천주교인을 통해 얻은 지식, 그 외에도 고려문 전도시에 만났던 많은 조선인들을 통해 그는“분명히 조선은 위대한 가능성의 나라”라고 하는 사실을 간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한국인의 지성과 성품과 윤리적 생활이 우수한 점, 그리고 명민한 판단과 담 큰 결단력을 지적하고는, 지력(地歷)과 지하자원에까지 언급하고 수운(水運)의 편리함도 서술한 후“이 나라에 없는 것은 다만 서양의 종교와 그 문명의 박차(迫車)와 지도(指導)”라고 갈파하였다.

1866년 토마스가 순교하기 1년 전부터 고려문에서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던 그는 1867년에도 그곳의 한국 상인들을 상대로 전도활동을 하며 한국선교를 준비했다. 토마스의 죽음이 한국 선교열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된 것이다. 복음은 이처럼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토마스가 세상을 떠난 지 꼭 1년이 되는 1867년 9월 9일, 윌리엄슨은 고려문을 포함한 만주 전도여행을 떠났다. 고려문은 한국인이 중국에 들어가는 관문이었고 해마다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장이 섰는데, 이때는 한국인들이 자유롭게 들어와 중국인과 물건을 매매할 수 있는 기회가 허용되었다. 따라서 한국인들과 접촉하고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윌리엄슨은 한국인들에게 중국어 성경을 팔면서 복음을 전했다.

윌리엄슨은 한국선교에 대한 열정이 뛰어났고 그 일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면서도, 선교의 방법에 있어서는 서구의 제국주의적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 그는 기독교 대국들이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한국이 문호를 열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대영제국과 미국 같은 나라들이 선도하여 한국같이 그 나라들에 반대하여 어리석고도 무식하게 폐쇄하는 나라들을 개방하도록 하나님이 그들에게 베풀어 주신 군사력을 사용하는 것은 의무이자 특권이라고 나는 믿는다.”고 하였다.

윌리엄슨은 누구 못지않은 불타는 복음의 열정이 있었지만, 선교방법론에 있어서는 제국주의적인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 비록 한국의 개방을 위해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여기지는 않았지만, 무력을 통해서라도 이 나라를 개방하도록 만드는 일이야말로 일종의 거룩한 소명이라고 확신했던 것이다. 중국으로 박해를 피해갔던 리델 신부가 무력을 동원하면서까지 한국 선교의 문을 열려고 한 것이나, 토마스가 불란서 함대의 통역으로 국내에 입국하려고 한 이면에서 우리는 당시 영국과 불란서 등 유럽 강대국 출신 선
교사들의 내면에 복음의 열정이 제국주의 패권의식으로 채색되어 복음의 순수성이 희석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국가범위로 확대된 서구형의 기독교회는 국가와 교회의 철저한 분리를 전제한 교파형의 미국 기독교회에 비해서 이러한 과오에 빠질 가능성이 훨씬 많았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우리는 귀츨라프, 토마스, 윌리엄슨에게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불타는 선교의 열정, 복음의 열정을 발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의 의식세계가 역시 당시 강대국 백성이 갖고 있는 제국주의적 패권의식의 한계를 크게 넘어서지 못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는 당대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때 복음 본래의 순수성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 이들은 후대 한국선교를 위해 중요한 토대를 구축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사
1) 중국을 통한 한국 선교의 시도

(4) 존 로스와 존 맥킨타이어

토마스나 윌리엄슨같이 중국에서 활동하는 스코틀랜드 출신 선교사들 가운데는 일찍부터 한국 선교에 관심을 갖고 실제로 한국 선교를 타진하던 이들이 있었는데, 존 로스(John Ross, 1841-1915)와 존 맥킨타이어(John McIntyre, 1837-1905) 선교사였다. 이들은 처남매부지간이었다. 일찍이 1892년 조지 길모어(George W. Gilmore)는 자신의 서울에서 본 한국(Korea From Its Capital)에서“한국개신교 복음화의 시작은 중국 우장에서 활동하는 존 로스 목사의 노력에 기인한다.”고 지적할 만큼 존 로스는 한국개신교 선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존 로스(羅約翰)는 제임스 그레이슨이 "한국의 첫 선교사”라고 부를 만큼 알렌, 언더우드, 아펜젤러 입국 이전에 한국 선교의 초석을 놓았던 개신교 선교사였다.

① 존 로스의 한국 선교 준비

1872년 존 로스는 선교사로 부름을 받고 아내 스튜어트와 함께 그 해 8월 중국 지푸를 거쳐 그 다음달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 선교부가 있는 영구(營口)에 도착하여 중국어와 만주어를 배우는 한편 만주 우장을 거점으로 선교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1873년 사랑하는 아내가 첫 아이를 출산하다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큰 위기를 만났지만, 로스는 결코 선교를 포기할 수 없었다. 갓 태어난 자신의 아기를 돌봐 줄 사람이 필요했던 로스는 영국에 있는 누이동생 캐더린 로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녀는 선뜻 오빠의 청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같은 선교지에 와 사역하던 총각 선교사 존 맥킨타이어가 그녀의 헌신적인 모습에 감동을 받고 청혼하여 둘이 결혼했다. 로스는 1881년 재혼할 때까지 7, 8년을 여동생 캐더린의 도움 속에 홀로 지내며 한국 선교를 위해 백방으로 노력할 수 있었다.

로스는 아내와의 사별에도 불구하고 1873년 가을, 한국의 복음화를 위해서 산동 지역 특히 서간 지역으로 1차 선교여행을 떠나며 한국 선교의 열정을 불태웠다. 만주 우장을 떠난 존 로스는 봉천 홍경을 거쳐서 압록강 상류 임강 부근까지 건너갔다 거기서 우연히 한 한인촌을 발견했다. 이미 윌리엄슨에게 토마스 선교사 순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조선이 어떤 나라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그였지만,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싶은 욕망을 억누를 수 없었다. 사공을 찾았지만 나서는 뱃사공이 없어 배라도 빌려 비밀리에 도강하려고 했으나 배를 빌려 주는 사람조차 없었다. 당시 한국은 쇄국정책으로 외국인과 접촉만 하면 처형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존 로스 선교사를 태워다 줄 사공이 한 사람도 없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래서 존 로스는 한국에 입국하는 것을 포기하고‘개국(開國)의 날’이 속히 이르기를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귀로에 오를 수밖에 없었다. 마침 한 사람의 한인과 친하게 되어 자기가 갖고 있었던 한문 성서 몇 권을 그에게 전하고 돌아왔다. 그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으니 배포한 성경을 읽고 수년 후에 여러 명의 사람이 예수를 믿게 된 것이다.

계속해서 한국 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던 로스는 1873년 가을, 만주를 출발하여 고려문을 방문했다. 로스는 고려문에서 한국어 선생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그곳에 가서 중국인 여사(旅舍)에 짐을 풀고 매일 시장에 나가 한국인을 만났으나 별 소득이 없이 영구로 돌아갔다.

1874년 4월 말에서 5월 초 로스는 자선 사업가 아딩톤(R. Arthington)의 재정 후원으로 서기를 동반하고 다시 고려문에 가서 자신의 어학 선생을 찾기 시작했다. 서기를 통해서 만난 사람이 바로 의주 출신 중인 이응찬(李應贊)이었다. 이응찬은 한약재를 잔뜩 싣고 고려문으로 가기 위해 압록강을 건너다, 갑자기 남서풍을 만나 거센 파도가 이는 바람에 배가 전복되어 싣고 가던 모든 물건들이 물에 잠기고 말았다. 다행히 그는 물에서 나왔으나 물건은 찾을 길 없게 되었고, 갑자기 무일푼의 난처한 처지가 되었다. 1890년 로스는 이응찬을 만나게 된 배경을 이렇게 술회한다.

“일을 하자니 힘이 들고 빌어먹자니 부끄러워서 이도 저도 할 수 없는 궁지에 빠졌다. 이러한 비참한 환경에 놓여 있을 때에 그는 우연히 한국말 선생을 구하기 위하여 한국 사람들 사이에 파견된 나의 서기와 만나게 되었다. 하루 저녁 그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에게로 왔다. 나를 만나자 그의 친구들을 먼저 돌려보낸 다음에 곧 나의 선생이 될 것을 약속했다. 그리고
그는 누구 앞에서나 모르는 척 해달라고 신신부탁한 다음에 뛰어나가서 친구들이 여관에 채 들어가기 전에 그들을 따라갔다.”

이응찬은 진퇴양난의 위기의 순간에 로스 일행을 만나 그의 어학 선생을 하면서 로스의 사역을 지원한 것이다. 로스는 이때가 1874년이라고 밝히고 있다. 본래 한학에 뛰어난 이응찬의 지도를 받으면서 로스의 어학 실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했다. 이응찬의 어학 지도로 로스는 1877년 한국어 교본『한영문전입문』(韓英文典入門, A Corean-English Primer)을 저술하였으며, 1879년에는『한국, 그 역사, 생활 습관』(Corea, It''s History, Manners and Customs), 1875년에는『예수셩교문답』과『예수셩교요령』도 출판하였다. 로스 목사는 한글에 대하여 “그들이 사용하는 글자는 표음문자인데다 매우 단순하고 아름다워서 누구나 쉽게 또 빨리 배울 수 있다.”고 칭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