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9)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3. 개신교의 한국 전래를 위한 노력
1) 중국을 통한 한국 선교의 시도
(2) 로버트 토마스(Robert Jermain Thomas)①
귀츨라프가 한국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한 지 34년 후인 1866년, 영국의 한 젊은이가 한국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 호를 타고 조선에 입국했다. 그 젊은이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최초의 개신교 순교자 로버트 토마스(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 崔蘭軒) 선교사였다.
그는 1840년 9월 영국 웨일즈(Wales) 지방 라야다(Rhayada)에서 회중 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859년 런던대학교 뉴칼리지(New College, University of London)에서 대학과정과 신학과정을 마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가 철저한 신앙과 선교의 사명감으로 고향인 하노버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은 것은 1863년 6월 4일이었다. 그는 목회보다는 선교에 뜻을
두고 부인과 함께 런던선교회의 파송을 받고, 목사 안수를 받던 해에 중국으로 떠났다. 중국에 도착하여 상해를 거점으로 막 선교를 시작하려는 바로 그때, 불행하게도 사랑하는 아내 캐롤라인이 낯선 타향에서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864년 4월 5일자 런던선교회에 보낸 그의 첫 편지는 선교 보고서가 아닌 아내의 사망 보고서가 되고 말았다.
“내가 영국을 떠날 때에는 여기서 처음 쓰는 편지가 이런 것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내 사랑하는 아내 캐롤라인이 지난 달(3월) 24일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더 글을 써 내려가지 못 하겠습니다.”
아내를 잃은 슬픔에다가, 현지 런던선교회 책임자들과도 뜻이 맞지 않아 토마스는 선교사직을 사임하고, 산동성 지푸로 가서 세관에 취직하여 일을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교사로 온 토마스를 방관하실 수는 없었다. 토마스는 지푸에서 세관 통역으로 일하고 있는 동안 그곳에서 선교사역을 하고 있던 스코틀랜드 성서공회 소속 알렉산더 윌리엄슨(Alexander
Williamson)의 충고와 격려로 다시 선교에 대한 비전을 재충전 할 수 있었다. 그가 한국 선교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를 피해 목선을 타고 산동성에 온 두 명의 한국인 천주교 신자들을 만나면서부터였다. 이들과 먼저 접촉한 사람은 윌리엄슨이었다.
1865년 가을, 한국에서 온 목선 한 쌍이 지푸에 나타났는데 그 안에 사형될 위험을 무릅쓰고 산동에까지 온 두 명의 한국천주교인들이 숨어 있었다. 이들이 자신들의 몸에 염주와 그리스도의 십자가상과 메달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윌리엄슨은 이들이 천주교 신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나 성경지식이 아주 없다는 사실에 적지 않게 놀랐다. 이들을 통해 조선의 종교적인 형편과 국내 실정에 대한 정보를 전해들은 토마스는 한국 선교를 추진할 것을 다짐하고 기회를 찾고 있었다.
마침 1865년 9월 4일 조선으로 향하는 배가 있어서 토마스는 두 명의 한국천주교인을 동반하고 윌리엄슨이 전해 준 상당량의 한문 성경들을 지니고 스코틀랜드 국립성서공회 소속 선교사로서 서해안으로 떠났다.
1865년 9월 13일 항해도 연안의 창린도에 도착한 토마스는 12월까지 약 두 달 반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한편 가지고 온 성경을 섬 주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두 달 반의 시간은 단순한 체류가 아니라 한국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기간이었고, 그는 그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후 서울을 향해 떠났지만, 태풍으로 겨우 목숨만을 건진 채 만주를 거쳐 1866년 1월 초에는 북경으로 되돌아갔다. 거기서 그는 런던선교회로부터 그의 새 임지로 북경이 정해졌음을 통고받았다.
그는 북경에 도착하는 즉시 런던선교회 총무 티드맨 박사에게 다음과 같은 한국 선교 보고서를 보냈다.
“우리는 한 작은 중국 목선을 타고 9월 4일 지푸를 떠났고 한국 해안에 도착한 날은 13일이었습니다. 그리고 해안에서 2개월 반 동안 머물렀습니다. 나는 한국 천주교인의 도움으로 그 불쌍한 백성들에게 복음의 가장 귀중한 진리 중 얼마를 가르치기에 넉넉한 한국말을 배워 알고 있었습니다. 그 백성으로 말하면 대체로 외국인에게 강한 적개심을 품고 있었으나, 나는 한국어로 이야기하며 그들에게 책 한 두 권씩을 받도록 권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이 이런 책을 받을 때에는 사형을 당하든지 아니면 벌금형이나 투옥될 것을 각오하고 받는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이런 책을 얼마나 읽기를 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토마스는 1866년 4월까지 북경에 체재하면서 조선의 동지사 일행을 만나 친숙한 교제를 나누었다. 이 접촉을 통해 그는 지난해 한국에서 전했던 성경이 평양에까지 흘러들어 갔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확인은 한국에 대한 그의 가슴을 뜨겁게 하였다. 기회만 있으면 한국에 달려가려고 하였다. 프랑스 신부에 대한 학살을 구실로 프랑스 함대의 원정이 논의되었을 때 토마스는 통역으로 동행할 것을 제의받았다. 그러나 로즈 제독이 거느린 프랑스 함대가 인도지나 방면의 긴급사태에 투입되었으므로 그의 한국행은 무기 연기될 수밖에 없었다. 천진을 거쳐 지푸에 와서 이 사실을 알게 된 토마스는 실망이 컸다. 그러나 그는 우연히 제너럴 셔먼호가 한국을 향해 떠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그 배를 타고 한국 선교의 길에 오르게 되었다.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3. 개신교의 한국 전래를 위한 노력
1) 중국을 통한 한국 선교의 시도
(2) 로버트 토마스(Robert Jermain Thomas)②
제너럴 셔먼(General Sherman)호는 미국 프레스톤 소유로서, 중무장한 일종의 상선이었다. 셔먼호에는 배 소유주 미국인 프레스톤이 영국의 메도우 상사와 함께 조선과의 통상의 길을트기 위해 선적한 면포, 유리그릇, 철판, 자명종 등 많은 상품과 선장 미국인 페이지(Page), 영국인 선원 호가쓰(George Hogarth), 항해사 미국인 윌슨(Wilson) 그리고 토마스 등 5명의 서양인과 청나라와 말레이시아인 19명의 동양인이 승선하고 있었다.
1866년 8월 19일 셔먼호가 송산리 앞바다를 떠나 황주 송림리 연봉포로 올라오자 정는 급보를 전해 듣고“요새 이상한 배가 우리 바다에”많이 나타나니“행동이 수상한 무리를 살피고 국방을 엄히 하라”는 특명을 하달했다. 황주 목사의 입국 불가 전갈에도 불구하고 8월 21일 밤 토마스와 그의 일행을 태운 셔먼호는 드디어 대동강 입구, 용강군 다미면 상칠리 주영포를 거쳐, 25일 평양을 향해 강 상류로 계속하여 거슬러 올라와 평양부 초리방 일리 신장포(草里坊一里新場浦)에 닻을 내렸다.
외국 상선이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오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평양 감사 박규수는 급히 중군 이현익, 군관 방익진, 평양부 서윤, 신태정을 파송해 상선의 입국경위와 정황을 알아보도록 보냈다. 토마스는 입국의 목적이 통상과 선교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자신들은 천주교가 아니라 야소교(耶蘇敎) 신자들이라고 전해 주었다. 왕조실록에 있는 대로 토마스는 문정관에게“백서에
덕이 되고 인성(人性)에 선이 되는 진도(眞道)가 야소교(耶蘇敎)에 있다”는 사실을 누누이 설명하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쇄국정책을 국책으로 삼고 있는 터였기 때문에 문정관은 그들에게 외국과의 무역은 금지되었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여러 차례에 걸친 탐문을 통해 한국 측은 이 배가 산동 반도를 떠나 백령도를 거쳐 평양으로 가고 있다는 것과 통상 및 야소교 전파를 목적하고 있음도 알았다. 그러나 제너럴 셔먼호가 대포와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는 것은 한국 관민들을 두렵게 만들었다.
처음에 양식과 땔감을 요구하는 그들에게 친절을 보이던 한국 측도, 중군 이현익을 억류하고 강압적인 자세를 보이기 시작하자, 강변의 병졸들과 성민들은 소리를 지르며 돌을 던지고 활과 화승포를 쏘기 시작하였다. 이에 셔먼호에서도 위협을 느껴 병졸들과 성민들을 향해 소총과 대포를 쏘기 시작하였다. 이런 와중에 홍수로 불었던 대동강 물이 줄면서 셔먼호가 좌초되어 움직일 수가 없게 되자, 상류에서 병졸들은 작은 배들을 여러 척 연결하고 그 위에 나무를 쌓아 놓고 거기에 불을 붙여 떠내려 보내자 이 불타는 작은 배들이 떠내려가 셔먼호에 닿아 배가 불타기 시작하였다.
배가 불타기 시작하자, 선원들은 강으로 뛰어 내려 강변으로 헤엄쳐 올라오게 되었고, 이때 대기하고 있던 병졸들은 뭍에 오르는 선원들을 닥치는 대로 칼로 쳐 죽였다. 토마스 목사도 더이상 배에 있을 수 없어서 성경 몇 권을 품에 품고 강으로 뛰어내려 헤엄쳐 나왔다. 헤엄쳐 나온 토마스 목사를 병졸 박춘권(朴春權)이 칼로 쳐 죽임으로써 그는 한국에서 순교한 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개신교 성직자가 되었다. 토마스 목사는 자기를 죽이려는 박춘권에게 성경 한 권을 주었는데, 박춘권은 처음에는 받지 않았다가 되돌아갈 때 이것을 집으로 가지고 갔다. 그는 후에 예수를 믿고 신자가 되었으며, 안주(安州)교회의 영수가 되었다. 그리고 그 성경을 뜯어 벽지로 썼던 영문주사(營門主事) 박영식(朴永植)의 집은 평양 최초의 교회인 널다리골 예배당이 되었다.
박춘권의 조카 이영태도 예수를 믿고 미국남장로교 선교사 레널즈(William Reynolds)의 조사가 되었고, 한국인 성서번역위원의 한 사람으로 큰 공헌을 하였다.
그 뿐 아니라 장사포에서 성서를 받은 소년 홍신길, 석정호에서 성서를 받은 김영섭과 김종권, 만경대에서 성서를 받은 최치량 등도 후에 강서와 평양 판동교회의 창설자들이 되었다.
토마스 선교사가 칼을 맞고 개신교 목사로서 이 땅에 최초의 순교의 피를 흘린 것이 1866년 9월 2일로 그의 나이 27세였다. 그는 이렇게 숨져 갔지만 그가 전해 준 복음은 한국교회의 초석이 되었고, 그의 순교의 피가 뿌려진 대동강 물을 마시고 산 많은 평양 성민들이 예수를 믿어 평양은 한국교회의 중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양의 예루살렘이라는 이름을 듣게 되었다.
이는“순교는 교회의 씨앗”이라고 한 터툴리안의 말이 한국교회사에도 그대로 성취되었음을 볼 수 있는 장면이라 할 수 있다.
1927년 5월 8일,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토마스가 순교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 대동강의 쑥섬에 모여 기념 예배를 드렸다. 그리고 1933년 9월 14일에는 기념 예배당이 준공되었다.
토마스 선교사의 순교는 한국교회의 보이지 않는 이정표가 되었다. 그의 순교적 신앙은 후대의 수많은 선교사들의 모델이 되었고, 그의 순교정신은 한국교회 속에 소중히 간직되어 내려와 주기철, 손양원 등 수많은 사람들이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순교를 각오하면서까지 진리를 지킬 수 있게 만든 신앙적 지주가 되었다. 또한 그의 죽음을 통하여 유럽과 미국의 교회들과 선교회들은 한국에 관심을 갖고 본격적으로 선교를 시작하게 되었다.
'好學의 歷史,宗敎,哲學 > (역사)韓國敎會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사(11)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0) | 2009.09.06 |
---|---|
한국교회사(10)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0) | 2009.09.06 |
한국교회사(8)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0) | 2009.09.06 |
한국교회사(7)개신교의 한국 전래를 위한 노력 (0) | 2009.09.06 |
한국교회사(6)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0) | 200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