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歷史,宗敎,哲學/(역사)韓國敎會史

한국교회사(2)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好學 2009. 9. 6. 22:21

한국교회사(2)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1. 서양종교 및 문화와의 접촉

한국이 서양문화와 접촉한 시기는 언제이며, 서방 세계에 알려지게 된 시기는 언제인가 하는 문제는 많은 역사가들의 주요한 관심이 되어왔다. 그 첫째 접촉은 중국을 통한 경교와의 접촉 가능성이고, 둘째는 통일신라시대 아랍세계와의 접촉 가능성이며, 셋째는 몽고를 통한 가톨릭과의 접촉 가능성이다.

1) 중국을 통한 경교와의 접촉

중국의 기독교 접촉은 상당히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사도 바울이 소아시아에서 복음을 전하고 있는 동안 도마와 바돌로매가 동방으로 진출하여 도마는 인도에, 바돌로매는 중국에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
역사적 문헌에 의하면 중국이 서방 기독교와 최초로 접촉한 교파는 경교였다. 431년 에베소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를 받은 콘스탄티노플의 감독 네스토리우스(Nestorius) 일파는 선교의 방향을 오늘날의 이라크, 이란, 터키 동남부 등 동방으로 돌려 활동하였으며, 서방교회와는 다른 신학을 정립해가기 시작했다. 페르시아를 거점으로 오랫동안 세력을 확장하던 네스토리우스파는 674년 페르시아가 회교국 아라비아에 의해 멸망당한 후에도 칼리파(Khalifa)의 신임을 얻어 계속 교세를 확장해 나갔으며, 762년에 본거지를 바그다드로 옮겨 계속 발전했다.
네스토리우스주의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당나라 시대였다. 중국에 경교의 전래가 역사적 사실로 확인되기 시작한 것은 1625년‘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발견되면서부터이다.

알로펜(Alopen, 阿羅本)을 단장으로 한 네스토리우스파 선교단이 중국에 도착한 것이 635년, 당(唐) 태종(太宗) 정관(貞觀) 9년이었다. 태종은 재상 방현령(房玄齡)을 내보내 이들을 환영하였고 당의 수도 장안에 머물게 하며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하도록 배려하였다.
이 네스토리우스파에 대한 한자 명칭은 여러 가지다. 그들이 페르시아에서 왔다고 해서 페르시아의 한자 음역인‘파사’를 붙여 파사교(波斯敎)라 칭하기도 했으며, 후에 그 교가 로마에서 전래되었음을 알고 로마를 의미하는 한자‘대진’을 넣어 대진교(大秦敎)라 불렀다. 그러다가‘광명정대한 종교’라는 의미가 담긴‘경교’(景敎)란 칭호가 사용되기 시작하여‘대진
경교’(大秦景敎)란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638년 7월에 경교(景敎)는 태종(太宗)의 조정이 공인하는 종교가 되었다. 태종은 국비로 장안의령방(長安義零坊)에 대진사(大秦寺)를 건립하고 승려 21명을 두게 하였다. 태종은 경교를 공인하게 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이 교는 도덕적으로 숭고하며 심오한 신비성이 풍부하고 평화를 존중하는 종교이므로 나라가 공인하는 종교로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표면적이 이유 외에도‘당의 태종이 경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 배경에는 한(漢) 이래 강력한 통일국가를 이룬 태종이 서쪽으로부터 확산되고 있는 아라비아의 회교국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계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알로펜은 635년부터 641년까지 포교하는 한편, 「예수 메시아경」을 번역하였다. 650년에 즉위한 고종(高宗) 때에는 경교를 진종(眞宗)이라며 전국 각지에 사원을 건설하고 알로펜을 높이어 진국대법주(鎭國大法主)로 삼았다. 이때부터 경교는 국교로 인정받았으며, 845년 무종(武宗) 때의 외래 종교 대박해 사건이 있기까지 약 200여 년 동안 융성하였다.

경교가 한국에 전래 되었을 가능성은 있는가?

경교가 당나라에서 유행하던 635-845년까지 210년 동안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통일제국을 형성했던 시기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당의 군사력의 도움을 받았고, 그 후 통일신라가 친당 정책을 쓰면서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 당의 영향을 깊숙이 받고 있었다. 더구나 일부 학자들은 통일신라시대 해상 무역이 발달해 중국, 일본은 물론 아라비아와 페르시아 지역에까지 무역을 확장하였다고 주장한다. 경교의 한국 전래를 주창하는 이들은 이와 같은 논리, 즉 신라와 당나라간의 정치, 문화, 군사 교류, 신라와 아랍국들 사이의 무역 교류 등을 통해 경교가 한국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1917년 골든 여사는 금강산의 장안사에서 발견한‘경교모조비’와 경주 석굴암의 무인상, 십일서관음상 등의 옷 무늬와 신발과 유리 장식 등을 페르시아의 것으로 보고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1956년에는 불국사에서 석재 십자가와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마리아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김양선은「한국 기독교사 연구」에서 통일 신라 이후 능묘 제도의 특색이 되어 있는 호석(護石)에 부조(浮彫)된 12지상과 능묘 앞에 배치된 페르시아의 무인상 등이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교의 한국 전래에 대한 위와 같은 주장은 단지 추측일 뿐 결정적인 역사적 사료는 되지 못하며, 혹 전래가 되었다 할지라도 종교적인 영향을 크게 미친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