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 역사
개요
한국 기독교의 역사는 기독교의 일파인 경교(景敎 Nestorianism)로부터 시작한다. 7세기 중국에 전래되어 크게 융성했던 경교가 당시 당(唐)과 활발히 교류했던 통일신라에도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천주교는 18세기말 서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 머무르지 않고 천주교 신앙까지 수용하려는 학자들에 의해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천주교 신봉자들은 외국인 신부가 입국하기 전에 이미 조선천주교회를 설립하여 자생적인 신앙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조선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한불조약(1886년)으로 신앙의 자유를 얻기까지 약 100여년 동안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다.
한국 개신교 역시 외국인 선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선교가 아니라 그들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자체적으로 신앙공동체를 건설하고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는 등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성장하였다. 이러한 한국 기독교의 성장은 개화운동 및 민족운동과 결부되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이바지하였다.
한국기독교역사실에는 경주 불국사 안에서 발견된 돌십자가 등 경교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물들을 비롯하여 초기 천주교 교리서와 신앙서적, 박해 관련자료 등을 전시하여 천주교의 수용과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한국개신교의 수용 및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초기 성경을 비롯하여 각종 찬송가와 외국선교사 관련유물, 일제하 한국교회와 신앙운동 관련유물을 전시하여 한국근대사에서 개신교의 발전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교
경교의 전래 가능성
경교(景敎)는 7세기경 페르시아로부터 중국에 전해진 기독교의 일파로서 네스토리우스(Nestorius)파를 말한다. 네스토리우스파는 431년 종교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유럽에서는 교세를 잃었지만 동방으로 옮겨가 기독교를 전래하였다. 중국의 경교 역사는 선교사 알로펜(Alopen, 阿羅本)이 635년 당(唐)의 수도 장안(長安, 西安)에 들어오면서부터 시작되며, 원대(元代)에는 ‘야리가온(也里可溫)’이란 이름으로 다시 유행하기도 하였다. 경교가 중국사회에 융성할 수 있었던 것은 토착종교나 불교와 습합되면서 전해졌기 때문이었다.
중국에서 경교가 유행하던 시기에 당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신라가 당에 수많은 사신과 유학생을 파견하는 등 당시 빈번한 문화교류를 행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한반도에 경교가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주로 초기 기독교사가들에 의해 주장된 경교의 한국 전래 가능성은 경주 불국사 경내에서 발견된 돌십자가, 동제십자무늬장식, 마리아상 등을 통해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기독교의 역사는 통일신라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
|
|
|
유물명 |
|
경교돌십자가 |
|
石製景敎十字架 |
|
Nestorian Cross, Stone |
|
시 대 |
|
통일신라시대 기원후 8~9세기 |
|
Unified Silla Period 8th-9th c. A.D. |
|
출 토 저 자 |
|
경북 경주 불국사(慶北 慶州 佛國寺) |
|
Bulguksa(Temple), Gyeongju, Gyeongbuk |
|
크 기 |
|
24.5×24.0×9.0cm | | |
경교돌십자가
1956년 경주 불국사에서 발견된 십자가 형태의 화강암제 석물(石物)로, 통일신라시대 경교(景敎)의 한국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평면은 십자가형이고, 단면은 사다리꼴로 앞면보다 뒷면의 폭이 넓은 점이 특징이다.
|
|
|
|
유물명 |
|
마리아상 |
|
瑪利亞像 |
|
Statue of Virgin Mary |
|
시 대 |
|
통일신라시대 기원후 8~9세기 |
|
Unified Silla Period 8th-9th c. A.D. |
|
출 토 저 자 |
|
경북 경주(慶北 慶州) |
|
Gyeongju, Gyeongbuk |
|
크 기 |
|
7.2×3.8×2.8cm | | |
마리아상
통일신라시대 경주에서 출토된 불보살상(佛菩薩像) 모양의 마리아상이다.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경교와 불교문화의 교류와 경교의 한반도 유입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화형보관(花形寶冠)으로 머리를 장식한 여인이 손을 입에 물고 있는 어린 아이를 무릎 위로 안고 있는 형상이다. 전체적인 신상의 양식은 당시의 불보살상을 따르고 있으나,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의 모습은 기존의 불보살상 양식과 차이가 있다.
|
|
|
유물명 |
|
십자무늬장식 |
|
十字文裝飾 |
|
Cross-based Design |
|
시 대 |
|
통일신라시대 기원후 8~9세기 |
|
Unified Silla Period 8th-9th c. A.D. |
|
출 토 저 자 |
|
경북 경주(慶北 慶州) |
|
Gyeongju, Gyeongbuk |
|
크 기 |
|
5.8×5.6cm | |
십자무늬장식
경교(景敎)의 한국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제(銅製) 십자무늬 장식이다. 얇은 청동판을 원형으로 둥글게 가공한 후에 맞새김[透彫]하여 남은 부위가 십자모양을 형성하였다. 표면에는 작은 돌기를 연속적으로 돋을새겨[浮彫] 십자무늬를 장식하였다.
|
|
|
유물명 |
|
십자무늬장식 |
|
十字文裝飾 |
|
Cross-based Design |
|
시 대 |
|
통일신라시대 기원후 8~9세기 |
|
Unified Silla Period 8th-9th c. A.D. |
|
출 토 저 자 |
|
경북 경주(慶北 慶州) |
|
Gyeongju, Gyeongbuk |
|
크 기 |
|
2.4×3.2cm | |
십자무늬장식
경교의 한국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비금속제의 십자무늬 장식이다. 화살촉 모양의 장식 표면 위에 5개의 원을 상-하-좌-우 및 중앙에 찍어 놓아 십자모양을 형성하였고 그 주위로는 작은 점을 연속적으로 눌러찍어[押印] 십자무늬를 장식하였다.
|
|
|
유물명 |
|
금강산경교유행중국비 탁본 |
|
金剛山景敎流行中國碑拓本 |
|
Rubbing of the Duplicated Monument Commemorating the Advance of Nestorianism |
|
시 대 |
|
1930년경 |
|
ca.1930 A.D. |
|
출 토 저 자 |
|
|
|
|
|
크 기 |
|
177.5×85.4cm | |
금강산경교유행중국비 탁본
중국 당나라 때 경교가 성행했던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 경교비를 탁본한 것이다. 경교의 동양전래설을 주장했던 고든(E.A.Gordon) 여사가 우리 나라 경교 전래를 밝히기 위한 연구기념으로 1916년 금강산 장안사 입구에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를 모조한 경교비를 건립하였는데, 김양선 선생이 이를 탁본하였다. 원래의 비[781년 건립]는 1625년 중국 서안부(西安府) 근처에서 발견되었는데, 중국어와 시리아어로 경교의 선교내력과 당시의 선교현황이 736자 정도로 소개되어 있다. 비문 내용 중 “법도가 전국에 퍼지고 국가는 부유하며 백성은 선미해졌고 교당이 각 성읍에 충만하여 집집마다 큰 복이 번성하였다”(法流十道 國富元休 寺滿百城 家殷景福)라는 기록에서 당시 경교가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
|
|
|
유물명 |
|
경교성서 |
|
景敎聖書 |
|
The Chinese Nestorian Scriptures |
|
시 대 |
|
1931년 |
|
1931 A.D. |
|
출 토 저 자 |
|
알로펜 |
|
Alopen |
|
크 기 |
|
35.4×24.3cm | |
경교성서
기독교 일파인 경교(Nestorianism)가 635년 중국에 유입된 후 곧 성서가 번역되었다. 이 경교성서는 송대(宋代) 초 돈황불동(敦煌佛洞)에서 발견된 경교 경전 중 하나를 1931년 영인한 것이다. 신의 명칭을 ‘일신(一神)’으로 표기하였으며, 성서의 어구(語句)를 인용하여 일신(一神)이 천지를 창조하였음을 강조하는 등 경교 교리가 잘 나타나있다
경교유행중국비
경교(景敎)는 7세기경 페르시아로부터 중국에 전해진 기독교의 일파로서 네스토리우스(Nestorius)파를 말한다. 네스토리우스파는 431년 종교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유럽에서는 교세를 잃었지만 동방으로 옮겨가 기독교를 전래하였다. 중국의 경교 역사는 선교사 알로펜(Alopen, 阿羅本)이 635년 당(唐)의 수도 장안(長安, 西安)에 들어오면서부터 시작되며, 원대(元代)에는 ‘야리가온(也里可溫)’이란 이름으로 다시 유행하기도 하였다. 경교가 중국사회에 융성할 수 있었던 것은 토착종교나 불교와 습합되면서 전해졌기 때문이었다.
중국에서 경교가 유행하던 시기에 당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신라가 당에 수많은 사신과 유학생을 파견하는 등 당시 빈번한 문화교류를 행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한반도에 경교가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주로 초기 기독교사가들에 의해 주장된 경교의 한국 전래 가능성은 경주 불국사 경내에서 발견된 돌십자가, 동제십자무늬장식, 마리아상 등을 통해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기독교의 역사는 통일신라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경교발해삼존불]
경교십자무늬장식
출저:숭실기독교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