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사서오경]四書五經

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5

好學 2012. 10. 1. 11:10

 

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5

 

 

 

201. 인(仁)으로 행동의 근본으로 삼고, 인(仁)의 도리를 벗어나지 않은 마음가짐으로 정신을 인(仁)에다 둔다. 이것이 사람으

 

로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논어


202. 인(仁)을 행하고 인(仁)의 도리에 살고 그리고 그것에 안심을 얻고 있는 것이 인자(仁者)이다. 지자(知者)는 인(仁)을 자기

 

에게 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이것을 열심히 욕구한다. -논어


 

203. 인(仁)의 도리를 지키는 마음가짐이 없는 자는 정신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오랫동안 궁핍한 생활을 견딜 수가 없어 결국은

 

타락하게 된다. -논어


204. 인자(仁者)는 의(義)를 보면 행하는 용기가 있다. 용자(勇者)라고 모두가 인(仁)이 있는 것은 아니다. -논어


 

205. 인자(仁者)는 좋은 것은 좋다고 하고 나쁜 것은 나쁘다고 하는 공평함을 지닌다. 그래서 인자는 사람을 사랑하고 친하는

 

일면 사람을 미워도 한다. 미워할 때는 그 사람의 악을 미워하는 것이지 사람을 미워하는 것은 아니다. -논어


 

206. 인(仁)하고 싶다고 바라는 그 순간부터 인(仁)은 그 사람 것으로 되는 것이다. 길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가까운 곳에 있

 

는 것이다. -논어


 

207. 일이 내 뜻과 달라 세상에 용납되지 않아도 나는 할 일을 다하고 있기 때문에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남을 탓하지도 않는다.

 

-논어


 

208. 임금으로서 천직을 다하기도 어렵고 또한 신하로서 그 책무를 다하기도 쉽지 않다. 공자가 인용(引用)한 말. -논어


 

209.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아비는 아비답게 자식은 자식답게 해야 한다. 이것이 사회에 명분을 이루는 정치는 근본

 

이다. 제(齊) 나라 경공이 정치를 공자에게 물었을 때 공자가 한 답. -논어


210. 임금을 섬기는 데는 진심으로 하라. 거짓으로 속이지 말고 눈치를 보지 말고 바른 말로써 충언하여라. -논어


 

211. 자기가 나서고 싶으면 먼저 남을 내세워 주고 자기가 발전하고 싶으면 남을 먼저 발전시켜준다. 이것이 인자(仁者)의 태도

 

이다. -논어


 

212. 자기를 이해해 주지 않는다. 혹은 실력을 인정해 주지 않는다. 이것은 인생살이에 있어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이럴 때

 

노여움이나 한스럽게 생각 말고 마음 편하게 스스로를 믿는 마음을 가지는 사람. 이런 사람이야말로 군자가 아니겠는가. -논어


 

213. 자기보다 나이가 아래인 사람이라도 또 자기보다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서도 가르침을 받는 것을 부끄러이 생각하지 말라.

 

불치하문(不恥下問). -논어


 

214. 자기보다 못한 자, 어리석은 자와 접할 경우 그것을 자기의 반성의 재료로 삼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자기보다 못한 자라도

 

스승으로 삼을 수가 있는 것이다. -논어


215. 자기보다 신분, 나이, 학식이 낮은 자에게서도 듣고 배워서 어떤 비근한 일이라도 소홀하게 하지 않고 하루하루 발전해 간

 

다. 나는 이렇게 공부하고 있다. -논어


 

216. 자기의 새로운 설을 만들어 내지 않으며 옛 선현(先賢)의 학설을 존중하여 그 바른 사상을 널리 펴서 전한다. -논어


 

217.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소탈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서도 소탈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중궁(仲弓)이 한 말. -논어


218. 잘못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잘못도 인정이 지나쳐서 저지르는 경우가 있고 몰인정한 경우도 있다. 그 잘못의 방법에 따라

 

서 그 사람의 본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논어


219. 장유(長幼) 붕우(朋友)는 서로 양보해야 한다. 스승에게 대해서도 물론이다. 그러나 인을 행하는 마당에서는 그 스승에 대

 

해서도 결코 양보할 필요는 없다. -논어


 

220. 장인은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쓰는 도구를 날카롭게 잘 닦아야 한다. 훌륭한 인간을 뜻하고 수양하기 위해서는 현

 

자(賢者)를 가까이 해서 배우고 인자(仁者)를 벗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논어


 

221. 재부(財富)를 구해서 얻어질 수가 있는 것이라면 가령 말채찍을 잡는 천한 노력인들 나는 할 것이지만 사람에게는 제각기

 

천명이 있어 바란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추구할 것이다. -논어


222. 저 자가 공자인가. 공자라면 나루가 있는 곳쯤은 알고 있을 만한데. 천하 주유(周遊)하는 그가 아닌가. 평천하(平天下)를

 

위해 주유(周遊)하던 공자가 문인 자로(子路)에게 나루가 있는 곳을 묻게 한 데 대해 장저(長沮)가 공자가 아직도 정치에 집착하

 

고 있다고 생각하여 비꼬아서 한 말이다. -논어


223. 적어도 도(道), 즉 인의도덕(仁義道德)의 수양을 뜻하는 자는 일상생활의 악의 악식을 부끄러워하는 자와는 친구로서 함께

 

도(道)를 이야기할 수가 없다. -논어


 

224. 절약해서 쓰고 백성을 사랑한다. 정치를 하는 사람은 국민의 세금에 의해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경비의 절약에 힘쓰고

 

국민이 낸 세금을 절약해서 적절하게 써야 한다. 거기에서 생긴 재정의 여유는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써야 할 것이다. -논어


 

225. 젊었을 때에는 혈기가 왕성하여 이성으로서는 감정의 억제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특히 남녀간의 색욕에 대해서는 특별

 

히 자숙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장년이 되면 혈기가 강성해서 자기 주장이 세어진다. 다른 사람과 싸우는 것을 자숙해야 한

 

다. 늙어지면 혈기가 쇠약해지면서 재물이나 명예욕이 강하게 된다. 과대한 욕망을 자숙해야 할 것이다. -논어


226. 젊은 사람은 무섭다. 공부 여하에 따라서 장차 어떤 큰 일을 할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사십, 오십이 되어도 이름이 알려지

 

지 않는다면 그런 사람은 무서울 게 없는 것이다. -논어


 

227. 정(鄭) 나라는 국가가 혼란하여 그 음악이 음탕하다. 음탕한 시(詩)나 음악은 썩게 하고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 -논어


 

228. 정도(正道)가 행해지는 것도 천명이고 정도가 없어지는 것도 천명인데 한 개인이 천하의 일을 어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

 

논어


229. 정치라는 것은 바른 것을 행하는 데 있다. 정(政)과 정(正)은 동음 동의(同義). -논어


 

230. 정치라는 것은 법이나 규칙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모름지기 덕으로써 다스려야 한다. 비유한다면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

 

(北極星)에 여러 별들이 따라오듯이 백성은 그 덕을 연모하여 위정자를 따라오게 될 것이다. -논어


231. 정치를 하는 데 있어서는 조급하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사물을 급하게 처리하면 반드시 미흡한 사태가 생겨서 결국 달

 

성하지 못하게 된다. 눈앞의 것에 구애되면 대국(大局)을 그르친다. 작은 이익에 마음을 빼앗기게 되면 큰 일을 이룰 수 없게 되

 

는 것이다. -논어


232. 제사를 지낼 때 마치 거기에 신이 계신다는 마음가짐으로써 모셔야 한다. 형식적으로 끝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어떤 일이

 

든 진정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하라는 뜻. -논어


 

233. 조정에서는 새해에 달력을 제후(諸侯)에게 나누어주고, 제후는 매달 초하룻날에 선조의 사당에 희생의 양을 바치고 그 달

 

력을 백성에게 보여서 농사의 지침을 삼게 했다. 이것을 고삭의 희양(告朔之희羊)이라 한다. 그러나 공자 당시에는 이 일이 쇠퇴

 

하게 되자 제자인 자공(子貢)이 형식적인 관습은 폐지하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 대해 공자는 "아니다.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

 

시 살아나는 것이다. 나는 그 형식은 없어지더라도 그것을 부활시킬 예(禮)가 없어지는 것을 애석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

 

논어


 

234. 중등 이하의 사람에게는 높은 지식을 일러주어도 소용이 없는 것이다. 사람을 가르치는 데는 배우는 사람의 정도에 따라서

 

조절해야 한다는 말. -논어


 

235. 중요한 것은 절도 있는 몸가짐이다. 공손한 것도 좋은 일이나 너무 도가 지나치면 치욕을 받게 된다. 너무 굽실거리는 것은

 

공손한 것이 아니다. 유자(有子)가 한 말. -논어


236. 지극한 덕(德)을 지닌 사람은 자기의 덕을 드러내지 않는다. 사람들은 그 덕을 들어 칭찬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 공자가 태

 

백(泰伯)을 칭찬한 말. -논어



237.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 임시의 편리를 탐내어 공명한 것을 버리고 임시방편으로 눈가림만 해 나가게 되면 얼마 안 가서 막

 

히게 된다. -논어



238. 지식이 좁은 사람은 자기의 좁은 생각에 얽매여 아집에 사로잡히기 쉽게 된다. 학문에 의해 지식과 견문을 넓혀 유연한 정

 

신 상태를 지니게 해야 할 것이다. -논어



239. 지위를 얻지 못하는 것에 마음쓰는 것보다는 그 지위에 앉을 만한 실력을 쌓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논어



240. 지위만 생각하고 직무를 소홀히 하는 자는 선비라 할 수가 없다. -논어



241.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머리도 물이 흐르는 것처럼 유동적이고 어진

 

사람은 움직이지 않는 산을 본받아 이해나 영욕을 위해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다. -논어



242. 진실로 참된 길을 구하는 자는 경우와 처지가 어떻게 변하든 간에 구도하는 즐거움을 변경하는 일은 없다. -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