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2
51. 그 사람의 과거에 어떤 잘못이 있어도 그것을 언제까지나 허물로 삼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지나간 것을 가지고 책망을 하는
것은 너그러움이 아니다. -논어
52. 찻잔도 그릇이고 주전자도 그릇이다. 그렇다고 해도 찻잔은 찻잔만의 역할을 하며 주전자는 주전자의 기능만을 지닐 뿐이
다. 군자는 이런 그릇이어서는 쓸모가 없는 것이다. 한쪽으로 편협되지 않고 전인적인 완성을 목표로 부단히 공부하고 수양에 힘
써야 한다. -논어
53. 처음 생각하는 것만으로서는 잘못될 수가 있다. 그렇다고 너무 생각이 지나쳐도 판단력, 실행력이 둔하게 된다. 두 번쯤 생
각하는 정도면 아마 충분할 것이다. -논어
54. 천리마는 물론 힘도 우수하지만 천리마가 천리마로 불리우는 것은 잘 성장한 덕 때문이다. 사람도 재능이나 수완이 필요하
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갖추어야 될 것은 덕이라 할 수 있다. -논어
55. 친구를 사귀는 데 있어 충고가 잦으면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친절한 것도 너무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에게서 귀찮음을
당하게 된다. 자유(子游)가 한 말. -논어
56. 친구와 사귀는 데 있어서 근본적인 것은 신의를 지키는 것이다. 과연 나는 그 신의에 부족한 점은 없었는가. -논어
57. 친구와 사귀는 일은 서로 익숙하게 되면 예의를 잃게 되기 쉽다. 오래 되어도 서로 상대방을 존경하는 사이가 되어야 한다.
-논어
58. 칠십이 되어서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언동을 해도 결코 그 정해진 규범을 벗어나는 일은 없었다. 종심(從心)은 70세. -논어
59. 하늘은 아무 말이 없어도 춘하추동 쉬지 않고 운행하고 모든 생물은 하늘이 화육(化育)하는 은혜를 입고 있다. -논어
60. 하늘의 죄를 받으면 빌 곳조차 없게 된다. -논어
61. 하루 종일 내 옆에 있으면서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반론 하나 하지 않는다.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마치 어리석은 사람처
럼 하고 있다. 그러나 마음속으로 내가 말하는 바를 전부 체득하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제자 안회(顔回)를 평해서 한 말. -논어
62. 학문을 하는 데는 넓게 어떤 것이라도 배우도록 힘쓰고 배워서 얻은 도(道)는 마음에 소중하게 간직하여 이것을 실행하도록
해야 한다. 자하(子夏)가 한 말. -논어
63.학문의 목적은 실행에 있다. 학문을 하는 자는 종종 공리공론을 주장하고 실무를 등한시하기 쉽게 된다. 실무를 떠난 학문은
참된 학문이 아니다. 인간이 해야 될 일을 성실하게 다하고, 그리고 여력이 있으면 그 여력을 가지고 학문을 해야 할 것이다. -논
어
64. 학문이나 기술 등에서 정도(正道)를 벗어난 것을 이단이라고 한다. 이단(異端)을 파고 드는 것은 얻는 것보다는 해가 많은
것이다.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좇는 것보다는 정도를 밟아 건실하게 공부하는 것이 성공에 이르는 참길이다. -논어
65. 학문이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이 실력이 있으면서도 없는 것 같이 겸허하고, 아무 이유 없이 남이 자기에게 잘못해도 따지지
않는다. 증자(曾子)가 안자(顔子)를 평한 말. 교는 싸움. 어울려서 따지는 것. -논어
66. 한가하게 즐거워 보인다. 마음을 턱 놓은 모습이 아름다운 복숭아꽃처럼 요요한 모습이다. 공자가 집에 한거할 때의 모습을
제자들이 한 말. -논어
67.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것들은 이와 같은 것이라, 밤낮없이 멈추지 않고 흘러간다. 시간이 흘러 묵은 것은 지나가고
새것이 오곤 하는 것이 쉴 사이 없이 되풀이되는 것을 냇물이 흐르는 것에 비유해서 말한 것이다. -논어
68. 한번 잘못한 실언(失言)은 사두마차(四頭馬車)로도 따라갈 수가 없다. 말을 할 때에는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자공(子公)
이 한 말. -논어
69. 한 삼태기 흙만 쌓아올리면 산이 이루어질 텐데 중지하여 완성을 보지 못한다면 그 책임을 자기 스스로의 노력 부족에 있는
것이다. -논어
70. 함께 말할 만한 사람인데도 그와 함께 말하지 않는 것은 사람을 잃는 것이 된다. 함께 말할 수 없는 사람인데 그와 함께 말하
는 것은 말을 잃는 것이 된다.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말도 잃지 않는다. -논어
71.호랑이나 들소 같은 맹수가 우리에서 나오거나 구옥 같은 보물이 궤짝 속에서 깨뜨려진다면 그 책임은 관리하는 자에게 있을
것이다. 이처럼 어떤 사람이 잘못 저지른 일이 있다면 그것은 그 사람은 보좌하는 사람의 책임이다. 공자가 계씨(季氏)를 보좌하
고 있던 염유(有), 계로(季路)를 책망한 말. -논어
72. 나는 그 사람의 과거는 묻지 않는다. 현재가 중요한 것이다. 바른 길을 행하고자 한다면 그것을 허락하고, 물러가서 바르지
않는 길로 행하고자 한다면 결코 그것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함께 이야기하기 어려운 호향(互鄕)에 사는 아이가 공자를 만나
러 오자 제자들이 당황해서 공자에게 물었을 때 공자가 한 말. -논어
73. 나는 나면서부터 알고 있는 사람은 아니고 옛 것을 좋아하여 재빨리 그것을 알아내기에 힘쓰는 사람이다. 공자가 자기의 실
제 행동을 말한 것. -논어
74. 나는 농사일은 늙은 농부만 못하다. 농사일은 나보다는 늙은 농부에게 듣는 것이 좋다. 사람에게는 제각기 본분이 있는 법이
다. -논어
75.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생각해 주고 의논도 받아 준다. 그럴 때 나는 진정으로 성심성의껏 해 주고 있는가. 성의에 부족한 점
은 없었는가. -논어
76. 나(공자)는 설흔 살에 정신적이나 경제적으로도 예(禮)에 근거해서 독립할 수가 있었다. 30세를 이입(而立)의 나이라고도
한다. -논어
77. 나는 아직 군사에 관한 것은 공부한 적이 없다. 영공(靈公)이 덕교(德敎)에는 마음이 없고 느닷없이 군사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는 이렇게 말하고 곧 위(衛) 나라를 떠났다. -논어
78. 나(공자)는 열다섯 살 때 성인의 학문을 배울 뜻을 세웠다. 15세를 지학(志學)의 해라고 하는 연유. -논어
79. 나는 평생을 일관(一貫)한 변함없는 길을 걸어왔다. 공자(孔子)가 증자(曾子)에게 한 말. 일관한 길이란 충서(忠恕), 즉 진
심에서 우러나오는 남을 위한 헤아림을 말하는 인도(仁道). -논어
80. 나는 평소에 정성을 다하고 있다. 그것이 곧 신에게 기도를 드리고 비는 것이다. 그런 뜻으로 나는 기도를 드려 온 지 오래되
었다. 병이나 재액을 만났다고 해서 새삼 빌거나 기도를 드릴 필요가 없다. 공자의 병이 중하게 되었을 때 제자 자로(子路)가 신
에 기도드리기를 청했다. 공자는 이를 물리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논어
81. 나는 행복하다. 만일 내게 과오가 있다 하여도 남이 반드시 지적해 준다. 다행한 일이 아니겠는가. -논어
82.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먼저 가까이 있는 자가 만족해하도록 힘써야 한다. 가까이 있는 자가 기뻐하면 먼 곳에 있는 자는 스
스로 모여들어 복종할 것이다. 섭공이 정치를 물은 데에 답한 공자가 한 말. -논어
83. 나면서 도덕을 아는 자는 상(上), 그 다음은 배워서 아는 자이고, 자기가 고생스럽게 배워서 아는 자는 그 다음이 된다. 삼자
가 제각기 차이는 있을지언정 노력에 의해서 상(上)과 동등하게 도달할 수 있다. -논어
84. 나이 많은 사람에게서는 저 사람이라면 안심할 수 있는 사람이다. 친구에게서는 저 사람이라면 믿을 수 있는 사람이다. 어린
이나 젊은 사람에게서는 저 사람이라면 하고 따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논어
85. 남을 대할 때 자기를 남이 속일 것이라고 미리 방비하지 말고 신용을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억측하지 마라. -논어
86. 내가 젊었을 때 등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가가 많아서 잔재주가 많아지게 된 것이다. -논어
87. 내 발을 보라. 내 손을 보라. 한 곳에도 상처난 흉터가 없다. 죽음이 임박한 것을 안 병상의 증자(曾子)가 제자에게 준 최후
의 교훈. 효도의 가장 큰 것은 어버이에게 받은 몸을 상하지 않고 잘 보존하는 것이 효의 첫째 요건이라는 말. -논어
88. 너는 대국을 볼 줄 아는 군자 선비가 되어야 한다. 공자가 제자 자하(子夏)에게 한 말. 군자는 의(義)를 숭상하고 소인(小人)
은 이(利)를 숭상하므로, 군자 선비는 학문하는데 대의(大義)를 앞세우고 소인 선비는 사리(私利)를 앞세우는 것이니 대의를 앞
세우는 선비가 되라는 뜻. -논어
89. 너는 해보지도 않고 선을 긋고 단념하고 머물러 있는 것이다. 공자가 제자 염구(염求)가 분발하여 노력하면 향상할 수 있음
을 격려한 말. -논어
90. 노(魯) 나라 대부(大夫) 양화(陽貨)가 공자를 끌어들여서 자기와 대면하려고 생각하고 그 계략으로써 공자의 부재시를 노려
선물을 했다. 공자는 그 계략을 알고 양화의 부재시를 노려서 답례의 인사를 했다. 부재시에 대부에게서 선물을 받은 경우에는
후일 본인이 직접 가서 답레를 하는 것이 당시의 관례였다. -논어
91. 누가 보아도 악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부정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해서는 그 사람이 어떤 지위에 있건 북을 울려 성토해도 좋
다. 노(魯) 나라 계씨(季氏)가 권력을 이용해서 거부를 쌓았다. 계씨를 섬기고 있던 공자의 제자 염구(염求)는 다시 백성들의 세
금을 배로 올려서 긁어모아 그의 재산을 한층 더하게 해 주었다. 그때 공자는 다른 제자들에게 "염구는 내 제자가 아니다."라 말
하고 위와 같은 말을 한 것이다. -논어
92. 누구나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사람은 없다. 문제는 그 잘못을 고치느냐 않느냐에 있다. 자기의 잘못을 변명하고 합리화하려
는 사람보다는 곧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고치며 자기의 귀중한 경험으로 삼아야 한다. 탄개(憚改)는 고칠 것을 두려워하여 꺼림.
-논어
93. 누구인들 문을 통하지 않고 밖으로 나갈 수 있겠는가. 도(道)라는 것은 모든 사물의 이치이므로 밖으로 나가려면 문을 통해
나가야 하듯이 사람이 세상을 나가려면 도(道)를 준수해야 하는 것이다. 도(道)는 공자가 주장하는 인도(仁道). -논어
94. 느슨하고 불충분한 명령을 내리면서 그 성과의 시기를 엄하게 하고 그 수행을 독촉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사람을 손상시키
는 짓으로 적(賊)이라 말할 수 있다. -논어
95. 마음은 얼굴에 나타나는 것이다. 얼굴을 바르게 하는 것으로서 신의의 사람, 성실한 사람에게 가까이 할 수가 있는 것이고,
거짓인 사람은 멀리 떠나게 되고 진실한 사람이 내게 가까이 오게 된다. 증자(曾子)가 한 말. -논어
96. 만일 나를 등용해 써 주는 자가 있다면, 문왕(文王)이나 무왕(武王)처럼 성군이 있던 서주(西周)에 비길 만한 훌륭한 정치를
동주(東周)에도 실현시켜 보겠다. -논어
97. 만일 천하 만민이 곤궁에 빠지게 된다면 모처럼 하늘이 주신 왕위(王位)도 영구히 잃고 말 것이다. 요(堯) 임금이 순(舜) 임
금에게 해준 말. -논어
98. 말보다는 실행이 중요하다. 실행은 민첩하게 하고 말은 신중하게 하라. -논어
99. 말을 입 밖에 내는 데에는 비루하고 사리에 어긋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야비하고 비도(非道)한 자는 스스로 멀
리 갈 것이다. 증자(曾子)가 한 말. -논어
100. 말이라는 것은 그것이 꼭 그렇게 될 것이라고 확정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것이다. -논어
'好學의 漢字文學 > [사서오경]四書五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4 (0) | 2012.10.01 |
---|---|
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3 (0) | 2012.10.01 |
論語에서 뽑은 242가지 明言明談 1 (0) | 2012.10.01 |
논어 위정편(爲政篇) (0) | 2009.09.22 |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의 생각이 있다 (0) | 2009.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