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기 장로의 개척정신'
5·16 직후인 1962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지금의 하남시 풍산동 가나안농군학교를 찾았다. 농촌 개척의 새 바람을 일으키는 현장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간식으로 감자와 빵이 나오자 박 의장은 무심코 빵 한 조각을 입으로 가져갔다. 그러자 김용기(1908~1988) 교장이 손을 내저으며 말했다. "여기서는 식사 전에 꼭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자'고 외쳐야 합니다." 박 의장은 물었던 빵을 내려놓고 일행과 함께 구호를 외쳤다.
▶1966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막사이사이상 시상식이 열렸다. '아시아의 노벨상'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각국 사절과 손님 1000여명이 들어찼다. 검은 정장 차림 수상자들 사이에 삼베 두루마기 입고 흰 고무신을 신은 사람이 앉아 있었다. 아시아 농부로는 처음 상을 받는 김용기였다. 그는 "농업을 통해 세상의 가난을 몰아내고 평화를 이루는 게 꿈"이라고 연설해 누구보다 큰 박수를 받았다.
▶김용기가 가나안농군학교를 세운 1962년 우리 1인당 국민소득은 87달러였다. 그는 아내와 아들·딸 일가족 8명의 힘으로 동부면 야산 4만㎡를 기름진 땅으로 일군 뒤 개척 경험을 나누기 위해 학교를 열었다. 그의 집엔 온돌을 비롯한 난방 시설이 전혀 없었다. 대신 벽을 한 자 넘는 두께로 쌓고, 문을 이중으로 달고, 지붕에도 흙을 두껍게 입혔다.
▶근면·절약·봉사의 '김용기 정신'이 서려 있는 하남 가나안농군학교가 올해 말 사라질 운명이라고 한다. 이 일대가 보금자리주택 지구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토지 보상금으로 양평 야산에 새 터를 사고 나니 남는 돈이 없다고 한다. 50년 동안 가나안농군학교를 거쳐간 입소생이 70만명. '김용기 정신'은 이들을 통해 온 사회로 퍼져 대한민국을 일으켜 세우는 큰 힘이 됐다. 시절이 바뀌고 먹고살 만해지면서 가나안농군학교를 찾는 발길도 뜸해지고 있다. 개척자 김용기에 대한 기억도 머지않아 사람들 머릿속에서 사라질지 모른다.
'好學의 時事 > [시사 칼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民族은 고비마다 運이 좋았다 (0) | 2012.06.17 |
---|---|
牧師 자리 물려준 것 悔改합니다 (0) | 2012.06.15 |
제57회 현충일을 맞으며 (0) | 2012.06.06 |
世界 7번째 ‘20-50클럽’ 國家[大韓民國]의 國格을 생각한다 (0) | 2012.05.29 |
辱이 욕을 부른다 (0) | 201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