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陶淵明의 雜詩

好學 2011. 12. 31. 16:49

陶淵明의 雜詩

 


人生無根체 인생무근체 : 인생은 뿌리도 꼭지도 없으니 (꼭지체)
飄如陌上塵 표여맥상진 : 길 위에 흩날리는 먼지와 같네(회오리바람표/길.거리맥)
分散逐風轉 분산축풍전 : 바람 따라 흩어지고 뒹구나니(쫒을축/구를전)
此已非常身 차이비상신 : 이 몸은 이미 떳떳한 몸이 아니라네
落地爲兄弟 낙지위형제 : 세상에 태어나면 모두가 형제인데
何必骨肉親 하필골육친 : 어찌 꼭 골육만을 친하리오
得歡當作樂 득환당작락 : 기쁨을 얻었으면 마땅히 즐겨야 하며
斗酒聚比隣 두주취비린 : 한 말 술이라도 이웃을 모아야지 (모일취)
盛年不重來 성년부중래 : 젊은 시절은 거듭 오지 않고
一日難再晨 일일난재신 : 하루에 새벽을 두 번 맞기 어렵네
及時當勉勵 급시당면려 : 좋은 때 놓치지 말고 마땅히 힘써라
歲月不待人 세월부대인 :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느니라

▶ 도연명 陶淵明 [365~427] : 자(字) 연명 또는 원량(元亮). 이름 잠(潛).
문 앞에 버드나무 5 그루를 심어 놓고 스스로 오류(五柳) 선생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장시성[江西省] 주장현[九江縣]의 남서 시상(柴桑) 출생.

그의 증조부는 서진(西晋)의 명장 도간(陶侃)이며, 외조부는 당시의 명사 맹가(孟嘉)였다고 전한다.

이와 같은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생활이 그렇게 풍족하지 못한 소지주 정도의 가정에서 자랐다.

29세 때에 벼슬길에 올라 주(州)의 좨주(祭酒)가 되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사임하였다.

그 후 군벌항쟁의 세파에 밀리면서 생활을 위하여 하는 수 없이 진군참군(鎭軍參軍) ·건위참군(建衛參軍)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항상 전원생활에 대한 사모의 정을 달래지 못한 그는 41세 때에 누이의 죽음을 구실삼아 펑쩌현[彭澤縣]의 현령(縣令)을 사임한 후 재차 관계에 나가지 않았다.

이때의 퇴관성명서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이다.

 


(주) -根체: 튼튼한 뿌리. 체는 꼭지
-陌上塵: 길 위의 먼지
-常身: 불변신(不變身)
-何必骨肉親 : 어찌 반드시골육 친지 뿐이겠느냐 四海가 모두 형제라는 뜻
-比隣 : 가까운 이웃
-及時 : 좋은 시기를 놓치지 말고.

'好學의 漢字文學 > [동양명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端宗御製 子規樓詩  (0) 2011.12.31
乙支文德의 與隋將于仲文詩  (0) 2011.12.31
黃鳥歌   (0) 2011.12.31
李白의 獨酌 1  (0) 2011.12.31
상형자 : 가정 생활 관련[4]- [ 鼎 ]   (0) 201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