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제31과 민수기(5):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2)(26-32장) 1

好學 2011. 3. 14. 20:43

제31과 민수기(5): 모압에서 일어난 사건들(2)(26-32장) 1

 

우리는 지난 시간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압에 도착해서 일어난 두 가지 사건들(발람의 예언, 바알브올 사건)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스라엘은 여리고 맞은 편에 있는 모압 평지에 진을 치고,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갈 마지막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지난 주에 이어서 이스라엘이 모압에 있을 때에 일어난 7가지 사건(3-9번째 사건)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참고: 모압 평지에서 일어난 10가지 사건들(22-36장)>    참고지도 보기
1. 발람의 예언(22-24장)
2. 바알브올 사건(25장)
3. 두 번째 인구 조사(26장)
4. 땅 분배에 대한 규례(27장,34장,36장)
5. 제물에 대한 규례(28-29장)
6. 서원에 대한 규례(30장)
7. 미디안 정복 사건(31장)
8. 요단 동편 땅의 분배(32장)
9. 광야 여정(33장)
10. 레위인의 성읍들과 도피성(35장)
  

.....................................................................................

 

3. 두  번째 인구 조사(민 26:)

 

 3-1. 인구 조사(1-51)
  * 1차 조사(출 38:26): 시내 산에서 세금 징수를 위한 조사: 603,550명
  * 2차 조사(민 1:4-46): 시내 산에서 행군, 군대 편성을 위한 조사: 603,550명
  * 3차 조사(민 26:1-51): 모압 평야에서 군대 조직 및 가나안 땅의  분배문제  

  하나님께서는 바알브올 사건 이후에 모세와 엘르아살에게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20세 이상의 남자로서 군대에 나갈만한 모든 자를 계수 하라고 지시하셨다(1-2). 이 조사는 가나안에 들어갈 새로운 세대들이 군대 조직을 재정비하고, 땅을 분배받기 위한 것이었다. 모세와 엘르아살은 이 명령을 각 족장들에게 전달하였으며, 각 족장들은 자기 지파의 가족을 따라서 그 수를 계수 하였다(3-4). 민 1장의 조사는 족장 중심이었다면, 이번 조사는 가족 중심이었다. 그러므로 비교적 가족에 대한 명단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조사의 내용을 민 1장의 인구 조사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가. 르우벤 지파(5-11)-43,730 명
  - 하녹 가족/ 헤르론 가족/ 갈미 가족
  - 발루 가족: 발루의 아들은 족장인 엘리압이며, 그의 아들들은 느무엘과 다단과 아비람 이었는데, 다단과 아비람은 고라 사건 때에 죽었다. 그러나 고라 자손은 이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살아 있었다(9-11).  

  나. 시므온 지파(12-14)-22,200명
  - 시므온 지파는 오핫(창 46:10)이 아무 가족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다섯 가족만 언급되고 있다. 느무엘 가족(때로 여무엘로 기록: 눈과 요드가 뒤바뀌어 사용됨)
  - 야민 가족/ 야김 가족/ 세라 가족/ 사울 가족.

  다. 갓 지파(15-18)-40,400명
  - 스본 가족/ 학기기족/ 오스니 가족(창 46:16에는 에스본으로 불림)/ 에리 기족/ 아롯 가족/ 아렐리 가족

  라. 유다 지파(19-22)-76,500명
  - 셀라 가족/ 세라 가족/ 베레스 가족(베레스의 자손은 헤스론 가족과 하물 가족이었다)

  마. 잇사갈 지파(23-25)-64,300명
  - 돌라 가족/ 부와에게 난 부니 가족/ 야숫 가족(창 46:13에는 욥)/ 시므론 가족

  바. 스불론 지파(26-27)-60,500명
  - 세렛 가족/ 엘론 가족/ 얄르엘 가족

  사. 므낫세 지파(28-34)-52,700명
  -  마길 가족: 마길은 길르앗을 낳았고, 길르앗으로부터 이에셀 가족(수 17:2에서는 아비에셀), 헬렉 가족, 아스리엘 가족, 세겜 가좃/ 스미다 가족/ 그리고 헤벨 가족이 나오게 됨
  - 헤벨의 아들 슬로브핫은 아들이 없고 딸만 낳았다. 이 딸들의 상속 문제는 27, 36장에서 자세히 다루어 지고 있는데, 딸들의 이름은 말라, 노아, 호글라, 밀가와 디르사였다.    

  아. 에브라임 지파(35-37)-32,500명
  - (수델라 가족)-수델라에게서 에란 가족이 나옴/ 베겔 가족/ 다한 가족

  자. 베냐민 지파(38-41)-45,600명
  - 벨라 가족(벨라에게서 아릇 가족과 나아만 가족이 나옴)
  - 아스벨 가족/ 아히람 가족/ 스부밤 가족/ 후밤 가족

  차. 단 지파(42-43)-64,400명
  - 수함 가족(창 46:230에서는 후심

  카. 아셀 지파(44-47)-53,400명
  - 임나 가족/ 이스위 가족/ 브리아 가족(브리아의 자손은 헤벨 가족과 말기엘 가족이었으며, 아셀의 딸 이름은 세라였다)

  타. 스불론 지파(48-50)-45,400명
  - 야셀 가족/ 구니 가족/ 예셀 가족/ 실렘 가족

  파. 합계(51)(601,730명)
  위의 표를 보면 유다 지파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르우벤은 서모와 간통하여 장자의 특권를 상실했다. 장자의 주도권은 4째 아들인 유다에게 돌아갔고, 요셉 지파는 장자의 두 분깃(에브라임과 므낫세)을 차지했다. 그리고 장자의 제사장권은 우상 척결에 헌신한 레위 지파에게로 넘어갔다. 특히 시므온 자손의 수가 급격히 줄었는데, 그 이유는 바알브올 사건 때에 시므온 지파의 족장인 시므리가 이에 가담했다가 멸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민 25:6,14). 그리고 유다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단 지파는 자신들이 맡은 일에 충실하지 못하고 항상 쫓겨다녔다. 단 지파는 후에 자기에게 주어진 지역을 떠나서 정복하지 못하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살았는데, 이곳은 우상 숭배의 중심지가 되었다(삿 18장). 이것은 단에 대한 야곱의 예언이 성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창 49:16-18).     


 3-2. 땅 분배 방법(52-56)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땅을 분배할 때에 인구의 숫자대로 분배하라고 지시하셨다(52-53). 모든 가족이 그 계수함을 받은 인원대로 공평하게 땅을 분배받을 것이며, 따라서 수가 많은 지파는 땅을 많이 받을 것이고, 수가 적은 지파는 땅을 적게 받게될 것이다. 그리고 땅을 분배할 때에는 그 땅을 제비 뽑아 나누어서 그들의 조상 지파의 이름을 따라 얻게 하라고 지시하셨다. 하나님께서 땅 분배 방법을 제비뽑기로 정하신 것은 하나님께서 각 지파에게 필요한대로 공정하게 분배해 주시기 위한 것이었다. 그들은 제비를 뽑으면서 그 결정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잠 16:33, 18:18).  그리고 자기들에게 주어지는 땅을 하나님께서 주신 것으로 알고 감사하게 받아야 한다.


 3-3. 레위인의 명단과 땅 분배의 예외 규정(57-62)

  12지파를 계수한 후에 이제는 레위 지파의 가족들과 숫자가 나타난다. 이들은 이스라엘 중에서 받을 기업이 없었기 때문에 따로 기록되었다. 여기에서는 모세의 가족에 대한 이름이 다시 한 번 언급되고 있다. 레위 지파는 게르손 자손과, 고핫 자손과, 므라리 가족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게르손으로부터는 립니 가족이(3;21), 고핫으로부터는 헤브론과 고라 가족과(출 6;2124, 민 16:1), 모세와 아론이 나왔으며(출 2;1, 6:20), 므라리로부터는 말리와 무시 가족이 나왔다(3;33). 모세와 아론의 어머니는 레위인인 요게벳이었는데, 그녀는 아론과 모세와 미리암을 낳았고, 나론은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낳았는데, 나답과 아비후는 다른 불로 분향하다가 죽임을 당했다. 레위인들 중에서 계수함을 입은 1개월 이상된 남자들의 사람들의 숫자는 총 23,000명이었다(62).


 3-4. 인구 조사의 결론(63-65)
  인구 조사에 대한 언급이 있은 후에 본문은 가데스에서 반역 사건을 일으킨 20세 이상의 모든 사람들이 죽고, 새로운 세대로 교체되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있다. 그러므로 갈렙과 여호수아를 제외한 모든 20세 이상의 출애굽 세대가 모두 광야에서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용 문제>
1. 하나님께서 야곱을 통해서 하신 예언은 신실하게 수행되었다. 하나님의 세월이 지난 후에 반드시 이루어진다.
2. 하나님께서는 믿음이 없는 세대가 이루지 못한 일을 그 다음 세대를 통해서 이루신다.   
3. 하나님께서는 각 가족들을 사랑하시고 귀하게 보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