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교제하는 방법 1. 탈무드 - 교제하는 방법 1. 아무리 친한 벗이라도 너무 가까이 하지 말라. '친구는 석탄과 같다.'라고 <탈무드>는 말하고 있다. 친구는 불타고 있는 석탄이다. 적당한 거리까지 접근해야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가까이 가면 몸을 덴다. 그리고 이 경우는 아내도 마찬가지이다. 인..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16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입과 혀에 대한 격언]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5. 입과 혀에 대한 격언 * 어진 사람은 자기 눈으로 직접 본 것을 남들에 게 이야기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자기 눈으로 보지 못하고 귀로만 들은 것을 이야기한다. * 귀로 무엇을 들을 것인가, 눈으로 무엇을 볼 것인가는 자기 의지대로 하기 어렵다. 그러나 입은 의지대로 할 수..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4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4. 물고기는 언제나 입으로 낚인다. 인간도 역시 입 때문에 걸려든다. '이스라엘은 누에이다. 항상 입을 놀리고 있다 ' 라는 속담은 유태인이 항상 기도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나쁘게 말하면 유태인은 수다를 잘 떤다는 것을 가리킨다. 틀리지 않는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3.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3. 당신의 친구는 친구를 가졌고, 그 친구도 다른 친구가 있으며, 그 친구의 친구도 다른 친구가 있다. 그러므로 당신 친구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조심하라. 자기가 들은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고 싶은 충동은 대단히 참기 어렵다. 성서의 잠언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2.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2. 이스라엘은 누에이다. 그들은 항상 입을 놀리고 있다. 지도를 보게 되면, 이스라엘은 지중해 연안에 한 마 리의 누에가 길게 누워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고대의 이스라엘도 비슷한 모양이었다. 여기서 '항상 입을 놀리고 있다'는 것은 '항상 기도하고 있다'라는 뜻이다. 경..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1.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1. 가장 큰 고통은 남에게 말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속담은 두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남이 모르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은 우월감을 갖게 한다. 그리고 그 정보가 상대방과 관계있을 때 상대방이 그것을 모르고 자신만 알고 있다면 더욱 우월감을 갖게 된다. 인간은 우월감에..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0.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10. 거짓말쟁이는 뛰어난 기억력을 가져야 한다. 유태교는 '율법의 종교'이다. 계율을 지키는 충실한 유태인이라면 율법은 신의 명령인 바 모두 옳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유태인은 옛부터 매우 현실적이고 타산적이었다. 그래서 모세가 시나이 산정에서 하나님에게 받은 '십계..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3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9.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9.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진실 중에도 말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거짓말을 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은 어렸을 때부터 귀 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서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리고 진실은 당당하게 말해야 한다고 배웠다. 그런데 진실 중에서도 말해서는 안될 것이 있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3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8.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8. 겉치레 인사는 고양이처럼 핥는다. 그러나 모르는 사이에 남을 할퀸다. 현인으로써 널리 알려진 랍비 슈말케는 어떤 마을로부 터 지도자가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는 그 마을에 도착하자마자 숙소에 들어가서 몇 시간이 지나도 나오지 않았다. 마을 대표가 환영 잔치..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3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7. 탈무드 - 입과 혀의 재앙 7. 인간이 말을 하는 것은 태어나면서 곧 배우나, 입을 댜무는 것은 어지간해서 배우기 힘들다. 유태인은 의논이나 논쟁을 좋아하여 수다를 잘 떤다. 그래서 한 마디로 할 수 있는 것도 열 마디로 늘여서 하게된다. 그러므로 수다에 대한 많은 경구들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유..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