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님이시여, 높이 높이 돋으시어
멀리 멀리 비춰 주소서.
시장에 가 계신가요?
위험한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놓으십시오.
당신 가시는 곳에 저물까 두렵습니다.
달님이시여, 좀더 높이높이 돋으시어
멀리 비추어 주소서
지금쯤 전주 시장에 가 계시옵니까?
어두운 밤길을 가시다가
혹시 진데를 디뎌 흙탕물에
빠지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옵니다.
몸이 고달프실 텐데 아무 데나 짐을 부려놓고 편안히 쉬소서
당신이 가시는 길에 날이 저물까 두렵사옵니다. - 金 東 必
달님이시여, 좀더 높이 돋으시어
멀리 비추어 주십시오
시장에 가 계십니까?
진 데를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것이나 다 부려놓고 오십시오
나의 가는 데가 저물까 두렵습니다. - 朴 晟 義
저기 저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아 올라서 멀리멀리 비춰 주십시오.
지금쯤 어느 시장에 가 계시옵니까?
어두운 밤길을 가다가
혹시 진 데를 디뎌 수렁물에 빠지지나 않을까 걱정스럽습니다.
밤길을 가다가 몸이 고달프시면 아무데서나 짐짝을 부려 놓고 편안히 쉬십시오.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습니다.
혹시나 내 남편이 가는 길이 어두울까 봐서요. - 鄭 炳 昱
달이여, 높이 높이 돋우시어,
멀리 멀리 비치십시오.
시장에 가 계십니까?
혹시 진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디에든지 놓고 계십시오(어느 사람에다 마음을 두고 계십니까?)
나의 임(나의)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 全 光 鏞
요점 정리
작자 : 어느 행상인의 처, 미상
갈래 : 고대 가요, 서정시
연대 : 미상(백제로 추정)
형식 : 내용상 3장 6구, 여음을 뺀 본사설은 6행으로 2줄씩 합해보면 3장 6구(각 장에 후렴구가 있음)의 시가 형식이어서 시조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성격 : 서정적, 기원적, 망부가
표현 : 직서법, 비유법을 사용
주제 : 행상 나간 남편의 안전을 기원,
의의 : 현재 가사가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 가요. 국문으로 표기된 가장 오래된 노래. 시조 형식의 원형을 가진 노래
관련 : <고려사> '악지'에는 백제 시대의 가요와 그 배경 설화가 기록되어 있고, '정읍사' '선운산가' '지리산가' '방등산가' '무등산가'의 다섯 편이 그것이다.
구조
기, 1장 |
‘달’에 남편의 안녕을 청원, 천지신명에의 기원 |
서, 2장 |
남편에 대한 야행침해(夜行侵害) 염려, 남편의 안녕 기원 |
결, 3장 |
남편의 무사 귀가를 기원, 남편의 편안함을 간구 |
출전 : 악학궤범(樂學軌範)구성 :
이 노래는 멀리 행상 나간 남편의 안전을 기원하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을 노래한 작품으로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행상 나간 남편이 밤에 돌아오는데 해를 입을까 두려워 하는(야행침해) 아내가 자신의 염려하는 마음을 '달'에게 빌어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고 있는 작품으로 여기서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라는 후렴구를 빼고 작품을 읽으면 오늘날 시조와 어느 정도 유사한 맥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시조의 원형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여기서 특히 '달'은 남편의 무사 안전을 도와주는 '절대자'의 의미가 담겨 있어 우리의 민속 신앙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즌데'라는 말은 밤길 귀가길에 닥칠 지 모르는 위험이나 또는 남편이 가서는 안될 곳을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본다. 그래서 여기서 '즌데'는 아내의 입장에서 남편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부정적인 상황을 상징한다.
고어 아래아( · )는 해석과 표기의 편의상 'ㅏ'로 표기함
달하 : 달(月)님이시여. 여기서의 달은 모든 것을 아는 천지신명 또는, 절대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민속 신앙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하'는 고려 시대까지는 존비(귀하고 천함)의 구별이 없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 극존칭 호격 조사로 쓰임
노피곰 도다샤 : 높이 높이 돋으시어, 높(어근)+이(부사화 접미사)+곰(강세 접미사) * '노피'의 부사에 '곰'이 붙어서 뜻을 강조함
머리곰 : 멀리멀리, 멀리멀리까지 * 멀(형용사의 어간)+이(부사화 접미사)+곰(강세 접미사)
비취오시라 : 비치어 주십시오 * 비취고시라>비취오시라(ㄱ탈락). ~ 고시라 : 명령형 어미 : 달에게 남편의 무사함을 청원하는 아내의 걱정스런 마음이 표현되어 있으며, 남편이 가는 길에 달빛을 환히 비춰주라고 기도한다.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 악률에 맞추어 부르는 뜻 없는 소리로 '어기여차'와 같은 의미의 조흥구
져재 : 저자에, 시장에. ㅣ모음 뒤에만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예'가 생략된 형태. 또는 '後腔全 져재'의 '全 져재'를 붙여서 '전주시장에'로도 해석하는 이도 있음.
녀러신고요 : 가 계신가요. 녀(동사 어간으로 行의 의미) +러(회상시제선어미)+시(형용사 어간)+ㄴ고요(의문형어미)
즌 : 진. 즌( '즐다'의 관형사형)기본형은 '즐다' ※ 즐다>질다(전설모음화)
되(ㄷ+아래아+ㅣ: 의존 명사)랄 : 뎨(곳) 여기서 즌되는 위험한 곳을 의미
드되욜세라 : 디딜까 두렵다 ※ 드되(어간) + 요(삽입 모음)+ㄹ세라(경계의 평서형종결어미) : 남편의 안전에 대한 아내의 걱정(야행침해 : 밤에 다니다가 곤란한 일을 겪는 것)이 구체적으로 나타난 구절이다. ‘즌 되’는 밤길이 남편에게 닥칠지도 모르는 위협이나 위험을 비유한 말로, 남편의 무사를 비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어떤 이는 '즌 데'를 더러운 곳, 즉 남편이 가서는 안 될 곳(사창가)이란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어느이다 : 어느 곳에다, 어느 곳에다가, 어느(대명사)+이(처소격 조사'ㅣ'의 속철)+다(어미)
노코시라 : 놓으십시오. 놓(어간) + 고시라(높임의 명령형종결어미)
내 : 남편, 임. '내'가 곧 남편임은 부부는 일체임을 나타낸 것. * 나(대명사)+ㅣ(주격 조사)
가논 : 가는 * 가+나(현제시제 선어말 어미)+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어미)>가논
졈그랄셰라 : 저물까 두렵다. ※ 졈글다(日暮)>저물다>저믈다>저물다 : 졈글다를 '잠기다'로 해석하여 '나쁜 곳으로 빠져 들어간다'로도 봄.
어긔야 내 가논 데 졈그랄셰라 : 남편이 가는 곳에 해가 저물어 집에 오기 힘들까 두려워 하는 남편이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기만을 기원하는 아내의 마음이 담겨 있다. 여기서 ‘내’라는 단어는 나(아내)와 남편이 동일시된 표현이다.
(1) 작품 선정의 취지
이 작품은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의 가요이자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최고(最古)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어떠한 관점에서 파악하느냐에 따라 시적 화자의 성격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어, 작품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해 내는 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학생들은 작품 속에 나타난 표현이나 구성의 아름다움을 파악하는 일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현대적 시각에서 시적 화자에 대한 평가를 다양하게 해 봄으로써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게 될 것이다.
(2) 지도의 핵심
이 단원은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작품의 의미나 가치를 능동적이고 다양하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여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되,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다른 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소규모 모둠 학습이나 발표 학습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3) 작품연구
이 작품은 어느 행상인의 아내가 남편을 기다리면서 걱정하는 마음을 달에 의탁하여 노래한 백제 가요이다. 정읍은 전주의 속현으로 그 고을 사람 가운데 행상을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가 산 위의 바위에 올라가 남편 간 곳을 바라보다 이 노래를 불렀다는 기록이 고려사악지 에 전한다. 노래의 전문이 실린 곳은 1493년에 편찬된 '악학궤범'으로 이 노래가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도 불리어져서 국문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를 현대어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달님이시어, 높이 높이 돋으시어
아아, 멀리 좀 비추어 주십시오.
저자에 가 계십니까?
아아, 진흙탕을 디딜까 두렵구나.
어느 곳에나(무거운 짐을 풀어)놓으십시오
아아, 내 임이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구나.
이 작품은 고려 조선조를 통하여 속악(俗樂)의 하나로 오랫동안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며, 특히 조선조에 들어서서는 섣달 그믐달, 궁중 나례(儺禮) 뒤에 처용무(處容舞), 봉황음(鳳凰吟), 삼진작(三眞勺), 북전(北殿) 등과 함께 연주되었다.
이 작품과 유사한 주제를 가진 작품으로 기한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는, 부역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노래인 백제의 부전 가요 선운산가 와 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 올라가 남편을 기다리면서 부른 노래인 신라의 부전가요 치술령곡을 들 수 있다. 특히, 치술령곡 은 정읍사와 마찬가지로 배경 설화에 망부석의 모티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모티프는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이어지고 있다.
학습활동
친해지기
1.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이 있으면 말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이 작품의 시적 화자의 행위와 관련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물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를 생각해 보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누구나 자신이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이 있을 수 있는데, 그 대상은 사람이나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시 답안 : 우리 가족의 건강과 행복에 대한 기원에서부터 이루고 싶은 작은 소망에 이르기까지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라고 있을 때에는 구체적인 대상은 아니지만 막연하게나마 신(神)에게 그것을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곤 한다.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에서 남편이 행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근거를 찾아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학생들이 이 작품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작품 속에서 근거를 찾아 시적 정황을 파악하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한글로 표기는 되었지만 고어(古語)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흥미를 잃기 쉬우니, 적절한 고어 풀이를 통해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임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풀이 : '져재 녀러신고요(저자[市場]에 가 계십니까?)', '어느이다 노코시라(어느곳에나(무거운 짐을 풀어)놓으십시오.)' 등으로 보아 시적 화자의 남편은 행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이 작품에 사용된 '달'의 상징적 의미를 말해 보자.
지도방법 : 이 활동은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달'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게 되면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도 아울러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달'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서 끝나지 않도록 하고, '달' 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를 함께 파악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풀이 : '달'은 시적 화자가 간절히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안녕의 수호자, 광명(光明), 천지신명(天地神明)의 상징이고,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인 남편 사이를 이어주고 그 거리를 좁혀 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달'의 이러한 의미로 보아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남편이 무사히 귀가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노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우미
'달'의 원형적 이미지 : 달은 찼다가 기울고, 기울었다가 다시 차는 속성을 가진 자연물로, 분리와 합일, 충일(充溢)과 이지러짐의 이미지를 갖는다. 또한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속성으로 소망과 기원의 이미지도 내포하고 있다.
문학 제재로서의 '달'의 이미지
기원의 대상 : '정읍사', '원앙생가' - 남편의 안위를 '달'에 기원, 애틋한 기원의 대상
애상의 대상 : 이조년의 시조 - 봄 밤의 애상적 정서를 표현
우러름의 대상 : '찬기파랑가' - 기파랑의 인품을 '달'에 비유하여 추모
서정적 분위기 조성 : 이호우의 '달밤'
탐구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 감상하기
이 노래는 백제의 민요가 조선 시대에 이르러 국문으로 표기된 것으로, 시적 화자를 어떠 한 사람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감상이 가능하다.
견해 1 :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에 전하는 배경 설화를 바탕으로, 행상 나간 남편의 야행 침해(夜行侵害)를 염려하는 아내의 정성을 나타낸 사랑의 노래로 볼 수 있다.
견해 2 : 고려 가요 '동동(動動)'과 함께 남녀간음지사(男女姦淫之詞)라 하여 폐기되었다는 '중종 실록(中宗實錄)'의 기록을 바탕으로, 행상 나간 남편이 다른 여성과 사랑에 빠지지나 않을까 하는 의구심과 질투를 드러낸 속된 노래로 볼 수 있다.
지도 방법 : 작품 수용에 있어서 판단 근거를 어디에 두고 작품을 감상하느냐에 따라 시구의 의미나 작품 전체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위에 나타난 견해를 바탕으로 시구의 의미나 작품 전체의 의미를 해석해 보도록 하고,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어떠한 견해가 과연 타당한지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3. 이 작품 해석에 대한 위의 견해를 참고하거나,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다음 시구들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해 보자.
(1) 즌되를 드디욜셰라 :
(2) 내 가논데 졈그를셰라 :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서로 다른 견해를 바탕으로 시구들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다양한 해석을 해 보게 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해석을 유도하되, 지나치게 자의적인 해석이 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아울러 어떠한 해석이 타당한지를 생각해 보게 할 필요도 있다.
예시 답안 :
(1) ① '즌데'는 '진 데' , '진 곳' , 즉 '수렁물(진창물)이 고인 곳' 이고, '드디욜셰라'는 '디딜까 두렵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남편이 밤에 다니다가 도둑이 침해나 입지 않을까 두렵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는 '즌 데'는 '수렁물(진창물)이 고인 곳' 이지만 상징적으로는 주색(酒色) 또는 화류항(花柳巷)을 비유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남편이 수렁과 같은 주색에 빠지면 어쩌나 두렵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2) ① '내 가논데'는 ' 내가 가는 곳(가는 길)'. '내가 가는 길'. '남편이 오는 길'이고, '졈그 셰라'는 '저물까 두렵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남편을 마중하러 나가는 길(남편이 돌아오는 길)이 어두워질까 두렵다.'고 남편의 무사 안전을 걱정하는 뜻으로 해석할 수 도 있다.
② '날이 저물다'라는 말은 있어도 '달이 저물다'라는 말은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저물게(곧 어둡게)되는 것은 '나의 님' 곧 '남편의 마음'이라고 보고, '내 가논 데'를 내가 살아가는 곳, 즉 인생의 전도(前途)로 해석하여 '남편과 나의 인생의 전도가 어두워질까 두렵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다음 작품을 읽고, 이 작품과 '정읍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전통적 여인상에 대해 설명해 보자.
지도 방법 :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정읍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전통적 여인상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먼저 교사는 학생들에게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의 어떠한 모습인지를 떠올려 보게 한 다음,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가 시적 대상인 사랑하는 사람이나 남편에게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가에 주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풀이 :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은 희생, 사랑, 순종, 인고의 미덕을 가진 여인들이었다. '진달래꽃'의 시적 화자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시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을 아름 따다 뿌리겠다고 말하고 있고, '정읍사'의 시적 화자는 남편이 무사귀가하기를 달에게 간절히 기원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진달래꽃'의 시적 화자나 '정읍사'의 시적 화자는 모두 '순종, 고귀한 사랑'을 가진 전통적 여인상을 대변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도우미
김소월의 '진달래꽃' 사랑하는 임과 이별의 상황을 상정하고 임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을 반어적으로 고백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민족적인 한(恨)의 정서와 민요조의 전통적 운율이 정교하게 결합되어 한국 서정시의 절조(絶調)로 평가된다. 학생들과 함께 한국의 전통적 정서를 함께 생각해 보는 활동도 가능한 작품이다.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들을 현대적 시각에서 보면 본받을 점도 있고, 비판할 점도 있다. 본받을 점고 비판할 점이 무엇인지 토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의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에 대하여 정리해 보자.
표현하기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오늘날 현대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를 생각해 보게 하는 활동이다. 먼저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들을 옹호하는 그룹과 이들을 비판하는 그룹을 나누어 지정해주고, 근거를 제시하여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거나 상대방의 입장을 반박하도록 지도한다. 토론이 끝나면 각자가 이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현대 여성의 조건에 대해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
본받을 점 : 희생, 사랑, 순동, 인고의 미덕을 가진 여인들로, 자신의 편안함보다도 가족의 편안함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현모양처(賢母良妻)의 길을 꿋꿋이 걸어옴으로써 가족의 평화와 사랑을 지켜왔다.
비판 할 점 : 무조건적인 순종이나 희생으로 일관함으로써 가부장적 전통의 불합리한 요소를 타파하지 못하고 언제나 여성은 종속적이고 열등한 존재라는 굴레 속에서 자신의 인간적인 삶을 포기한 결과를 낳았다.
현대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 : 현대는 가부장적 전통의 불합리한 요소가 어느 정도 깨어졌고, 능력 있는 여성이라면 사회 진출이 얼마든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여성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성 이외에 능력, 당당함 등을 갖추어 남녀 평등의 정신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야 한다.
'정읍사' 관련 설화
井邑 全州屬縣 縣人爲行商久不至 其妻登山石以望之
恐其未夜行犯害 托泥水之汚以歌之 世傳有登岾望夫石云
정읍 전주 속현 현인위행상구부지 기처등산석이망지
공기미야행범해 탁니수지오이가지 세전유등첨망부석운
정읍은 전주 속현으로 이 고을 사람이 행상을 떠나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자, 그 아내가 산 위 바위에 올라가 남편이 있을 먼 곳을 바라보면서 남편이 밤길에 오다가 해나 입지 않을까 염려되어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남편을 기다리던 언덕에 돌(망부석)이 남아 있다고 한다. - '고려사악지', '삼국 속악 백제조'
'정읍사'의 율격과 형태
'정읍사'는 염을 빼고 사설 대목만 들면 노래말은
달 하 노피곰 도드샤
머리곰 비취오시라.
져재 녀러신고요.
즌 데를 드디욜셰라.
어느이다 노코시라.
내 가논데 졈그를셰라.
가 된다. 한 줄이 두 토막씩이고, 모두 여섯 줄이다. 첫 줄에서는 '달하' 하고 부르고서 한참만에 '노피곰 도드샤'를 붙여서 읽
어야 할 터이니, 두 토막씩으로 보는 데 예외는 없다. 다시 두 줄씩 합쳐 보면, 네 토막씩 세 줄 형식이어서 바로 시조와 상통
한다. 이러한 형식이라면 우리 노래의 기본형 중의 하나이고, 오래 두고 전승되어 왔다고 보아 마땅하다.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신삭업사, 1988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
-지헌영,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양태순,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77
이해와 감상
유일하게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는 백제의 노래로서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속악(俗樂)의 가사로 불려졌다.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와 〈동국여지승람〉 권34 정읍현고약조(井邑縣古躍條)에 노래의 제작경위가 기록되어 있고, 〈악학궤범〉 권5 시용향악정재도의조(時用鄕樂呈才圖儀條)에 가사와 연행절차가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 의하면 정읍의 한 행상인이 행상하러 나갔다가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으므로 그의 아내가 망부석에 올라가 남편이 돌아올 길을 바라보며 혹시 밤길을 가다가 해를 [야행침해]입지나 않을까 두려워하여 지어 부른 노래라고 한다.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순박하고 지순한 사랑의 마음이 달에 의탁되어 나타난 이 노래는'달'을 절대자 혹은 천지신명에 가까운 존재로 보고 있다. 그점은 바로 민속 신앙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의 민속 신앙에서 ‘달’은 우리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던 전통적인 수호신적 성격을 갖고 있는 달로, 이 노래에서는 아내의 걱정스러운 마음을 도와주는 절대자의 의미가 함축되어있는 달이다. 이러한 달이기에 남편의 귀가길과 아내의 마중길, 나아가 그들의 인생 행로의 어둠을 물리치는 광명의 상징일 수도 있다.
행상(行商) 나간 남편의 야행침해(夜行侵害 : 밤길에 해를 입음)에 대한 염려를 ‘즌 데를 드디욜세라.’하여 ‘이수지오(泥水之汚 : 진흙물에 더러워짐)’에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은 돋보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이 노래는 달의 광명을 통하여 남편이 무사하기만을 비는 간곡한 여인의 심정을 순박하게 형상화하여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제 1 연에서의 걱정은 제 2 연에 와서‘즌 데를 드디욜세라.’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었고, 3연에서의 ‘지고 가는 행랑을 어디에든지 놓고 그 위험을 피하십시오. 내 임이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라는 표현은 서정적 자아의 간절한 기원의 목소리를 드러나 있다. 이러한 서정적 자아의 목소리는 그 당시 삶의 절대적 동반자였던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아내의 소박한 감정(感情)과 애환(哀歡)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달을 부르는 행위는 남편이 무사하기만을 바라는 여인의 간곡한 심정을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달은 그들의 인생 행로의 어둠을 물리치는 천지신명과도 같은 광명의 상징일 수도 있다. 또 '비취오시라', '녀러신고요', 드디욜세라','노코시라', '졈그랄셰라' 등과 같은 존칭형어미에서 남편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는 아내의 간절한 목소리를 생생히 느낄 수 있다.
정읍사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는 남편의 안위를 걱정하는 애틋한 마음이 간절하여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고려 속요 '가시리', 황진이 시조,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맥을 같이한다.
하여간 이 작품은 행상인의 아내가 남편이 무사하기를 기원하는 노래로 아내의 지순한 사랑과 함께 백제인의 평민적 삶에서 빚어진 서정 세계가 잘 나타나 있다. '달'은 우리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던 전통적 풍속과 관련되기도 하지만, 이 노래에서는 아내의 애정이 서려 있는 함축성이 내포된 달이다. 이러한 달이기에 그것은 남편의 귀가길과 아내의 마중길, 더 나아가서 그들의 인생 항로의 어둠을 밝히는 광명의 상징으로 길 가운데의 '즌 데'와 선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정읍사에 나타난 남편이 무사하기만을 비는 여인의 지순(至純)한 사랑에서 우리는 한국 여인의 원형(原形)을 발견하고 오늘의 메마른 세태를 되돌아보게 된다.
이 노래는 백제의 민요로 구전되어오다가 속악의 가사로 편입되었고 고려시대에 와서는 궁중악인 무고정재(舞鼓呈才)의 가사로 창(唱)되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처용무 處容舞〉·〈봉황음 鳳凰吟〉·〈삼진작 三眞勺〉과 함께 가창되었다. 〈악학궤범〉의 연행절차에 따르면 여러 기생이 〈정읍사〉를 부르는 가운데 8명의 여기(女妓)가 나와 절차에 맞춰 춤을 추고 북을 치는데 마지막에 악사(樂師)가 박을 치면 북을 멈추고 물러 나가고 음악이 그친다고 했다. 이 노래는 중종대(中宗代)에 이르러 음란한 노래라고 하여 궁중가악에서 제외되고 〈오관산 五冠山〉으로 대치되었다. 그러나 〈성소복부고 惺所覆藁〉·〈대악후보 大樂後譜〉·〈동국문헌비고 東國文獻備考〉 등의 문헌에 간단히 기록된 것을 통해 볼 때 이후에도 계속 연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읍사 공원 |
정읍사 시비 |
(출처 http://culture.chongup.chonbuk.kr/h84/upsa_0002_6.html)
심화 자료
노래에 대한 평가
여성의 육체를 노래한 남녀상열의 음사다 - 지헌영
행상인 남편이 화류항에 빠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아내의 심경을 표현하였다 - 박성의, 박병채 등
남편의 야행침해를 걱정하는 불안 의식을 상징적으로 토로한 것으로, 정절의 미덕을 노래하였다 - 최정여
그러나 중종대에 조신들에 의해 이 '정읍사'가 '동동'과 함께 남녀간 음사라 하여 폐기되었다는 기록도 있고 보면 단순히 남편을 걱정하거나 정절을 노래한 것만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정읍사의 율격과 형태
이 노래에서 여음을 빼면
만 남는다. 따라서 한 줄이 두 토막씩이고 모두 여섯 줄이 된다. 이를 두 줄씩 합쳐 보면 네 토막 형식이 된다. 이것은 시조의 형식과 상통한다. 따라서 이 노래의 형식은 10구체 향가에서 시조로 전이(轉移)해 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관련 가요
배경 설화
백제 가요. 작자·연대는 미상이다.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 구백제(舊百濟) 지방의 노래로 짐작된다.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며,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요 중 가장 오래 된 것이다. 내용은 정읍현(井邑縣)에 사는 행상의 아내가 남편이 돌아오지 않으므로, 높은 산에 올라 먼 곳을 바라보며 남편이 혹시 밤길에 위해(危害)를 입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나타낸 노래이다
井邑 全州屬縣 縣人爲行商久不至 其妻登山石以望之
恐其未夜行犯害 托泥水之汚以歌之 世傳有登岾望夫石云
정읍 전주 속현 현인위행상구부지 기처등산석이망지
공기미야행범해 탁니수지오이가지 세전유등첨망부석운
정읍의 전주현에서 전주현 사람이 행상을 나가서 오래도록 돌아오지 아니하므로, 그 아내가 산에 올라가 바라보며, 혹시나 그의 남편이 밤길에 범해를 당하게 되지 않을까 염려하여, 진흙물에 오염될까 하여 노래를 불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전하는데, 이를 망부석이라고 일컫는다.
실전(失傳)의 백제가요(百濟歌謠)
현재 가사가 전하는 것은 '서동요(薯童謠)'와 '정읍사(井邑詞)'는 둘뿐인데 '서동요'는 실제로 백제의 가요인지 의심스러운 데가 많으며, '정읍사'도 후기 작품으로 추측된다. '무등산가(無等山歌)', '방등산곡(方等山曲)', '선운산가(禪雲山歌)', '지리산가(智異山歌)' 등은 곡명과 그 유래만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전한다.
정읍사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
남편의 안위를 걱정하는 여인의 애틋한 마음이 간절하여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고려 가요 '가시리', '황진이 시조',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맥을 같이한다.
‘달’의 원형적 이미지
이 노래에 나오는 달의 이미지는 원형적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달은 찼다가는 기울고 다시 차는 속성으로, 분리와 합일, 충만함과 이지러짐의 이미지를 갖는다. 그리고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속성으로 소망과 기원의 이미지도 내포한다. 그것은 월하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던 전통적인 달이기도 한다. 더구나, 이 노래에서는 달은 단순한 달이 아니라 남편의 안전을 빌고 있는 아내의 따뜻한 애정이 서려 있는 달이다. 나아가 그들의 인생 행로의 어둠을 물리치는 광명의 상징이기도 하다. ‘달과 즌데’는 대칭 구조를 이루며, 끝 구절의 ‘내 가논데 졈그랄셰라 ’와 연결된다. 달이 지면 어둠이 차게 되고. 그렇게 되면 나와 남편사이에는 사랑의 절망이 오게 된다.
달과 문학
달은 시대를 막론하고 작품의 소재로 많이 등장했다. 중국의 시성 이태백이 '달'을 건지려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는 달이 얼마나 작가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문학적 소재인가를 단적으로 말해 준다. 달은 어두운 밤에 등장하여 그 어둠을 밝혀준다는 점 때문에 확실한 상징성을 지닌다. 문학적으로 '어둠'이 '인생의 고난, 고통, 부정, 절망, 무지' 등을 상징한다면, 이것을 밝히는 '달'은 '구원, 희망, 긍정, 지혜' 등을 상징한다. 또한 '달'은 낮이 아닌 밤과 관련된 소재라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낮'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시간임에 비해 '밤'은 훨씬 더 은밀하고 내면적인 시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달이 뜬 밤인 '달밤'은 이처럼 그윽한 두 소재가 서로 상응하여 그 정취와 문학성이 한층 더해지는 시공간인 것이다.
원형의 의미
문학의 원형이론은 제임스 G. 프레이저(James G. Frazer:1854~1941)의 '황금가지 The Golden Bough'(1890~1915)와 인류학적 저작과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층심리학에서 비롯되었다. '황금가지'에서는 대부분의 다양한 문화들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전설이나 의식들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화 및 제의(祭儀)의 기본적인 형태들이 내재해 있음을 주장하고, 또 그것을 추적하고 있다. 융은 ‘원형’이란 용어를 원초적 심상(primordial images)에 적용시켰는데, 이는 옛 선조들의 생활에서 반복되던 경험 형태들의 심리적 잔존물로서, 인류의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을 통하여 전해 내려오고, 문학작품을 비롯하여 신화·종교·꿈 그리고 개인적 환상에도 표현된다고 보았다.
아롱곡
'정읍사'는 삼국 속악의 하나로 전승되어 궁중 음악으로 불리어 왔는데, 조선 중종 때 조신들에 의해 음사(淫辭)라 하여 폐지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아롱곡'이라 하여 전승되다가 '투호아가보'에 다름과 같이 실려 전한다.
월아고고적상래사(月阿高高的上來些)
원원적조착시아(遠遠的照着時阿)
어기어감조리(漁磯魚堪釣리(口+里)
아롱다롱일일니(阿弄多弄日日尼)
박목월의 '달'
첫번째 개인 시집 《산도화》에 실린 3연 10행의 자유시로 그리움의 서정을 표현하였다. 제1연의 하얀 달밤에 핀 배꽃 사이로 비치는 달은 우리 민족의 정한(情恨)을 담은 색깔이다.
제2연의 ‘불국사 언저리’ 역시 우리 민족의 애환이 담긴 공간적인 배경이다. 다시 제3연의 ‘반쯤 가리고 가는 달’은 체념과 그리움의 서정을 재확인하는 신화적인 공간이다.
배꽃 가지
반쯤 가리고
달이 가네.
경주군 내동면(慶州郡 內東面)
혹(或)은 외동면(外東面)
불국사(佛國寺) 터를 잡은
그 언저리로
배꽃 가지
반쯤 가리고
달이 가네.
요점 정리
지은이 : 박목월
제재 : 달
주제 : 달밤의 정경
특징 : 절제된 감정으로 대상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간결한 형식미를 지님
구성 : 수미상관의 구성
표현 :
박목월의 '달'은 배꽃과 달의 만남을 그린 작품이다. 천상의 꽃인 달과 만난 지상의 배꽃은 얼굴을 반쯤 가리고 함께 길을 간다
. 잔잔한 슬픔과 밝은 생명력이 교감하는 공간의 승화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소재로 전통적인 정서를 민요조의 운율에 담
아, 서정으로 일관하는 그의 시가 여기서도 은은하게 빛을 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는 화자가 전면에 나서서 직접적으로 슬
픔을 대신 슬픔이 깃든 풍경만을 제시한다. 그 서정성이 말 밖의 말로 드러나는 셈이다.
정읍사 유래
작자·연대 미상의 가요로 백제시대부터 구전해온 민간전승의 가요로서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사 본문 중 全져재의 全자를 전주(全州)의 지명으로 보고, 백제시대의 완산주(完山州)를 신하 경덕왕 15년에 전주로 개명한 사실을 근거로 하여 (동국여지승람 권32 전주부), 경덕왕 때 이후 내지는 고려시대 구백제지방의 민요로 보기도 한다.
또 한편에서는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2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의 <정읍사>는 <고려사> 편찬자들의 잘못으로 돌리고, 같은 책의 고려속악조에 무고정재(舞鼓呈才) 때 <정읍사>를 동일시하고, <무고>를 만든 사람인 이곤의 생존연대와 관련하여 <정읍사>를 고려 충렬왕 때 전후에 개성주변에서 작사, 작곡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의 악지와 <고려사>의 악지가 다같이 재래속악에 대한 편차방식이 같은 점으로 보더라도, 삼국속악조에 백제속악으로 기록된 <정읍사>는 고려속악과 구별하여 기록한 것으로 편찬자의 잘못이 아니라 백제속악으로 인정함이 옳을 것이다.
또 고려속악정재조에 신라 때 원효(元曉)가 지은 <무애>가 들어있는 것처럼 고려속악조에 들어 있다 하여 모두가 고려시대의 가요로 볼 수는 없듯이, 무고정재 때 <정읍사>를 불렀다 하여 <정읍사>의 제작연대가 무고를 지은 이곤의 생존연대와 같을 수는 없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이는 재래속악, 곧 유전악(遺傳樂)인 <정읍사>를 고려속악정재 때 이곤이 지은 무고라는 악곡에 얹어 불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노래의 가사는 <악학궤범> 권5 시용향악정재조(時用鄕樂呈才條)에 <동동>.<처용가>.< 정과정> 등 고려가요와 함께 실려 전하고, <고려사> 악지 2 삼국속악조에도 <정읍사>에 관 한 기록이 있다. <정읍사>는 삼국속악의 하나로 전승되어 고려와 조선시대를 통하여 무고의 무의(無儀) 때 가창되었고, 특히 조선시대에 와서는 섣달 그믐날 밤에 궁중에서 마귀와 사신 (邪神)을 쫓기 위하여 베풀던 의식인 나례(儺禮) 후에 거행된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처용가> 등과 함께 연주되었다(악학궤범 권5).
이와 같이, <악학궤범>에 채록되어 악장(樂章)의 하나로 정착하게 되었으나, 중종 때에 이 르러 음란한 노래라 하여 궁중에서는 폐지되고 새로 만든 악장인 <오관산 五冠山>으로 대 용하였다.(중종실록 13년4월조).
형식은 전강(前腔).후강(後腔).과편(過篇)의 3연체(聯體)로 되 어 있으며, 후렴을 뺀 기본 시행(詩行)만으로 본다면 3연6구의 형식이 되고, 또 각 연의 음 절수가 3음 또는 4음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하여 시조의 3장6구 형식의 근원을 <정읍사>에 서 찾고자 하는 경향이 많다.
각 연의 후렴을 보면 제1.3연에 해당하는 전강과 과편에는 각 각 2구씩 되어 있으나, 제2연에 해당하는 후강에는 어긔야 어강됴리 1구뿐이고, 음악적인 악 조(樂調)인 소엽(小葉)에 해당하는 아으 다롱디리가 없다 그리하여 후강이라는 악조명 다음 에 전(全)자를 붙여 후강에는 소엽 아으 다롱디리가 없는 것이 온전하다는 뜻으로 후강전(後腔全)이라 표시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아직은 어느 문헌에도 후강전이라는 악조명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악적으로보면 후강에 소엽 아으 다롱디리가 있어야만 완전한 것이 된 다.
특히 시가형태면에서 보더라도 <정읍사>가 백제가요로 인정되기는 하나, 오랜 세월 고 려속요와 함께 불려오는 동안 다분히 고려적인 성격으로 변모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일 것이다.
후렴을 지니는 모든 고려속요는 예외없이 각 연마다 꼭같은 후렴을 지니고 있으 며, 또한 후렴이란 언제나 꼭같은 것을 되풀이 하는 것이므로 고려속악과 함께 가창된 <정읍사>도 각 연마다 동일한 후렴을 지녀야만 형태상으로도 온전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후강에서 소엽 아으 다롱디리는 구전되는 동안 탈락된 것으로 볼 수 있고, 따 라서 전자의 처리는 자동적으로 져재 앞에 놓여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현재 국문학자들 사이에서는 후강전(後腔全)이라는 주장과 후강전(全)져재로 보아 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고, 어떤 정설(定說)로 규정하기가 곤란하다.
(출처 http://culture.chongup.chonbuk.kr/h84/upsa_0002_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