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교육의 길 7. 탈무드 - 교육의 길 7. 예루살렘의 멸망은 잘못된 교육 때문이다. 유태 민족들은 시도했던 일이 실패로 끝나면 먼저 자 기들의 교육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배움 바체가 곧 신을 찬양하는 일이었고, 그래서 배움에 의해 신을 존경하고 신에게 가까와진다고 여겼다. 예루살렘이 로마군에 의해..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3
탈무드 - 교육의 길 6 탈무드 - 교육의 길 6. 기도 시간은 짧게 하고, 학문에는 오랜 시간을 보내라. 이 말은 유태인들이 학문 즉 배움에 대한 생각을 신 을 찬양하는 것과 같이 생각한 데서 연유한 말이다. 그렇다면 '가장 위대한 것은 신'이라고 믿고 있는 그들이 어째서 기도 시간을 짧게 하라고 했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3
탈무드 - 교육의 길 5. 탈무드 - 교육의 길 5. 지식이란 흐르는 물과 같다 <탈무드>에는 하 니와 이디라는 랍비에 관한 얘기가 있다. '성경의 이사야편에는 [목마른 자는 모두 물가로 오라] 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왜 성경에서의 가르침이 물로 표현하고 있는가? 물이란 높은 지대에 낮은 지대로 흐르기 때문이다. 말하자..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교육의 길 4. 탈무드 - 교육의 길 4. 많은 사람들은 생각하는 것을 피하고 도망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 <탈무드>에 있는 이런 경구가 이미 수천년 전에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다. 세계 어느 민족보다도 가장 교육열이 높은 유태 민족을 '책의 민족'이라고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아주 오랜..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교육의 길 3. 탈무드 - 교육의 길 3. 책으로부터 지식을 배우고, 인생에서 지혜를 배운다. 오늘날의 우리들은 지식과 지혜의 차이를 모르고 있는 것 같다. 몇 백년 전과 비교해 생각하여 보면, 우리 인간이 알고 있는 지식이란 실로 엄청난 것이며, 또한 계속 그 양이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탈무드>를 비롯한 유..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교육의 길 2. 탈무드 - 교육의 길 2. 금전의 차용은 거절해도 좋으나 책을 빌려 달랠때 거절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이 말은 <탈무드> 에 있는 율법 가운데 하나이다. 예로부터 유태인들은 '학문과 책의 민족'이라 불릴 만큼 배움을 중시하였다. 유태 민족에 있어서의 배움이란 인간에서의 피와 같다고 여긴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교육의 길 1. 탈무드 - 교육의 길 1. 이상이 없는 교육은 미래가 없는 현재와 같다. 마르크스, 프로이트 같이 세계에 크게 영향을 미친 유태인을 찾아 보면, 그 가운데는 특히 개혁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는 과학의 정설을 크게 바꾸어 놓은 사람과 개혁자가 많다. 그렇다면 유태인이 가지고 있는 이..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26. 마음의 양식. 탈무드 - 26. 마음의 양식. 마음의 양식에 관한 격언 * 마음에서의 문은 입.마음에서의 창은 귀이다. * 마음에 바를 수 있는 약은 없다. * 인류를 아끼고 사랑하는 것은 쉽지만, 인간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 원한을 풀고 난 뒤의 당신의 마음은 개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용서해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2
탈무드 - 25. 마음의 양식. 탈무드 - 25. 마음의 양식. 신은 바르게 사는 자를 시험해 본다. 성서에는 이런 격언도 있다. 랍비 요나단이 말하기를, '도공은 이미 망가진 그릇을 손가락으로 두드려 시험해 보지 않는다. 그러나 잘 만들어진 그릇은 손가락으로 이리저리 두드려 보면서 시험해 본다. 이와같이 신도 이미 잘못된 악한자..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0
탈무드 - 24. 마음의 양식. 탈무드 - 24. 마음의 양식.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는 것은 순간적인 일이나, 반대로 불행을 행복으로 가꾸는 데는 오랜 세월이 필요하다. 가장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라 해도 그가 가장 불행한 고통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은 순간의 일이다. 하지만 반대로 불행한 늪에서 하우적이던 사람이 행..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