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교육의 길 17. 탈무드 - 교육의 길 17. 자녀를 가르치는 최선의 교육은 자기 스스로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유태 현자 중의 한 사람인 야라쉬닐은 말했다. '부모라면 누구나 자기 아이들이 많은 교양을 쌓으면서 신앙에 충실한 경건한 유태인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그 자녀가 자라서 또 부모가 되면 역시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7
탈무드 - 교육의 길 16. 탈무드 - 교육의 길 16. 당나귀가 예루살렘에 가도 역시 당나귀인 것이다.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수도이며 또한 이름난 성도이다. 지금의 뉴욕이나 파리처럼 옛날의 예루살렘은 모든 분야에 걸쳐 중심지였고 아울러 유행의 발상지이기도 했다. 당나귀라는 동물은 중동 지역에서는 가장 오랫동안 운송..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7
탈무드 - 교육의 길 15 탈무드 - 교육의 길 15. 산양이 수염이 있다하여 랍비가 될 수는 없다. 필자도 수염을 기르고 있듯이 랍비들은 대부분 수염 을 기른다. 왜냐하면 성서에서 보면 얼굴을 비롯한 전신에 상처를 입는 것을 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개 생각한 랍비들은 자연히 면도를 하지 않아 수염을 기를 수밖에 없었..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5
탈무드 - 교육의 길 14. 탈무드 - 교육의 길 14. 세 종류의 어리석은 사람이 있다. 첫째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알고 있는 사람, 둘째는 자기가 슬기롭다고 자신하는 사람, 셋째는 자기도 남도 모두 어리석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유태 민족은 지식이 많고 적고보다는 현명한가 아니면 어리석은가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5
탈무드 - 교육의 길 13. 탈무드 - 교육의 길 13. 생물 가운데 웃는 것은 인간뿐이다. 그 중에서도 영리한 사람이 웃는다. 유태 민족만큼 생활에서 유머를 즐기는 민족도 없다. 고통 받을 때 웃음을 선사하는 것은 물론, 그러한 웃음을 통해서도 많은 교훈을 얻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일에 성실한 것은 물론 좋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5
탈무드 - 교육의 길 12 탈무드 - 교육의 길 12. 자기 결점을 쉽게 고치지 못하더라도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유태 민족이 즐겨 읽는 고전 가운데 하나인 <미드라쉬>에 보면, "선한 곳에는 반드시 조그마한 악이 있다'는 말이 있다. 인간이란 신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한 현자가 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해..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5
탈무드 - 교육의 길 11. 탈무드 - 교육의 길 11. 옳은 것을 배워 아는 것보다는 옳은 일을 몸소 행하는 것이 더 낫다. '행동은 말보다도 더 웅변적이다'라는 격언이 있다. 여러가지 논리나 학문이란 것은 이를 바탕으로 한 행동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리라. '가장 훌륭한 지혜는 친절함과 겸손함이다'라든가 '영리함보다는 친절함..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5
탈무드 - 교육의 길 10 탈무드 - 교육의 길 10. 자기 혀한테 '모른다'는 말을 열심히 가르쳐라. 스스로 많이 아는 체하는 사람은, 헤엄을 모르면서 물에 뛰어드는 것 만큼 어리석은 사람이다. 인간이란 태어나면서부터 배움에 의해 정신적으로 성장하는데, 배운다는 것 자체가 스스로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3
탈무드 - 교육의 길 9. 탈무드 - 교육의 길 9. 신은 인간이 만든 마을과 탑을 보기 위해 왔다. 성서의 <창세기>편에 나오는 말로, 여기서의 탑은 바벨탑을 이르는 것이다. 옛날의 여러 랍비들은 왜 신이 땅으로 내려와 바벨탑을 보려했을까 하는 문제에 대해 토론하였다. 성경에 의하면 그후 신은 바벨탑을 불태워 파괴하..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3
탈무드 - 교육의 길 8. 탈무드 - 교육의 길 8. 살아 있는 사람에게서 빼앗을 수 없는 것은 지식이다. 유태 민족은 오랜 세월 동안 집과 땅을 잃고 , 이 나 라 저 나라로 옮겨 다녀야 하는 수모와 고통을 받아왔다. 그래서 유태인의 아이들은 지금까지도 부모로부터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이고 , 남들이 너에게서 빼..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