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 (李白 701∼762)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농서군 성기현(成紀縣;지금의 甘肅省 秦安縣 부근) 출신.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라고 일컬어진다.
두보를 <시성(詩聖)>, 왕유(王維)를 <시불(詩佛)>, 이백은 <시선(詩仙)>이라고 한다.
이 밖에 적선인(謫仙人) 또는 벼슬이름을 따서 이한림(李翰林)이라고도 한다.
25세 때 촉(蜀)나라를 떠나 양쯔강[楊子江(양자강)]을 따라 나와 평생 유랑생활을 했다. 이백은 어려서부터 시문(詩文)에 천재성을 발휘하는 한편 검술을 좋아했다. 젊었을 때 도교(道敎)에 심취하여 선계(仙界)에 대한 동경심을 가졌으며 산 속에서 지내기도 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幻想性)은 대부분 도교적 발상에서 나온 것이며, 산은 그의 시세계의 주요 무대의 하나였다.
촉나라에서 나온 뒤 둥팅호[洞庭湖(동정호)] 주변에서 오(吳)·월(越)나라(지금의 南京·杭州 일대) 등을 주유했고 안육(安陸;지금의 湖北省)에서 원(元)나라 재상 허어사의 손녀딸과 혼인하여 10년간의 세월을 보냈으나, 그 사이에도 가정에 정착하지 못하고 맹호연(孟浩然)·원단구(元丹丘) 등의 시인·도사와 전국을 여행했다.
그 뒤 임성(任城;지금의 山東省)과 남릉(南陵;지금의 安徽省)에 집을 장만했다. 임성에서는 공소부(孔巢父) 등과 추라이산에 은거하면서 <죽계(竹溪)의 육일(六逸)>이라고 하였다.
아내 허씨(許氏)가 죽은 뒤 유씨(劉氏)·송씨(宋氏)와 혼인했으며, 딸 평양(平陽)과 아들 백금(伯禽)을 두었다.
이백은 과거를 보지 않았으나, 현종(玄宗)의 부름을 받아 장안(長安)에 가서 환대를 받고 한림공봉(翰林供奉)이 되었다. 이 1∼2년 동안이 그의 생애 가운데 유일한 영광의 시절이었다.
두보가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서 <이백일두(李白一斗) 시백편(詩百篇), 장안의 저자거리 술집에서 잠이 든다. 천자가 불러도 배에 타지 아니하고 스스로 칭하기를 신(臣)이 이 주중(酒中)의 선(仙)>이라고 한 것은 그 무렵 이백의 모습을 전해 준 것이다. 그러나 이백의 불기(不羈)의 성격이 현종 측근들의 참언(讒言)을 자초하게 되었고 마침내 궁중에서 떠나게 되었다.
장안을 떠난 이백은 뤄양[洛陽(낙양)]에서 11살 아래의 두보와 만나 친교를 맺었다. 두 사람의 만남은 짧았지만 우정은 평생 유지되었다.
755년 안녹산(安祿山)의 난 때 현종은 쓰촨[四川(사천)]으로 도망하고 숙종(肅宗)이 즉위했다. 55살의 이백은 이때 루산[廬山(여산);江西省(강서성)]에서 숙종의 동생 영왕(永王)의 부름을 받고 그의 반란에 가담했다. 영왕이 숙종의 토벌을 받자 이백은 체포당하여 한때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뒤에 감형되었다. 야랑(夜郎;지금의 貴州省)으로 유배되어 양쯔강을 거슬러 올라가 싼샤[三峽(삼협)]까지 왔을 때 사면되었다.
말년에는 강남을 주유했으며, 당도현(當塗縣;지금의 安徽省) 현령 이양빙 곁에서 병으로 죽었다.
이백의 시는 두보의 시가 조탁(彫琢)이 극에 이르는 데 대하여, 흘러나오는 말이 그대로 시가 되는 시풍이며 두보의 오언율시(五言律詩)에 반하여 악부(樂府)와 칠언절구(七言絶句)에 능했다. 예를 들어 <양인대작산화개(兩人對酌山花開) 일배일배부일배(一杯一杯復一杯)> 등은 규범에 관계없이 자유스러운 발상과 리듬을 구사한 좋은 보기이다.
또 성당(盛唐)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이백은 인간·시대·자기에 대한 큰 기개·자부심을 시로 노래했다. 가령 《고풍(古風)》 가운데의 한 구절인 <대아(大雅) 오래 생기지 아니하고 내가 쇠하면 마침내는 누가 말할 것이다>, 《장진주(將進酒)》 가운데 한 구절인 <하늘이 나에게 재능을 준 것은 반드시 유용하게 쓰라고 그랬을 것이다> 등이 있다. 그러나 그 기개와 자부심의 시대는 개원(開元)에서 천보(天寶)로 이행되어감에 따라 전제 독재 밑에서 심해지는 부패한 현실로 인해서 깨졌다.
그는 《장진주》에서 <인생에서 뜻을 얻으려면 반드시 기쁜 마음으로 힘을 다하여야 하느니>라고 했듯이 산다는 기쁨에 정면으로 대결하였으며, 동시에 그가 말하는 <만고지수(萬古之愁)>, 즉 살기 위해 생기는 걱정을 항상 마음에 지니고 살았다.
또한 즐겨 술·달·산을 노래했고, 여정(旅情)·이별·규정(閨情)을 노래했으며, 수심을 격조높게, 때로는 잔잔하게 펼쳐보였다.
한편 이백의 시로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된 것이 많다.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걱정으로 이처럼 길어지고(秋浦歌)>, <장안일편월(長安一片月) 집집마다 다듬이질 소리(子夜吳歌)>, <고인(故人) 황학루(黃鶴樓)를 떠나 연화삼월(煙花三月) 양주(揚州)로 내려간다(황학루에서 맹호연을 보내고)>, <촉도(蜀道)는 하늘에 오르기보다 어렵고(蜀道雖)>, <왜 벽산(碧山)에서 사느냐고 나에게 묻는데, 웃기만 하고 대답을 아니하니 마음은 절로 한가롭다(山中問答)>, <칼을 뽑아 물을 베어도 물은 여전히 그냥 흐르고 술잔을 들어 걱정을 지우지만 걱정은 여전히 걱정으로 남아 있다(宣州 謝眺樓에서 校書 叔雲과 전별하며)> 등은 잘 알려진 명구들이다.
이 밖에 《월하독작(月下獨酌)》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 《증왕륜(贈王倫)》 《파릉행》 《청평조사(淸平調詞)》 등 걸작이 많다.
이백에 대한 전설과 삽화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많은데 어머니가 태백성(太白星;금성)이 품에 들어오는 태몽을 꾸었다고 해서 그 이름이 생겼다는 출생이야기부터, 흐르는 물에 비친 달그림자를 떠내려고 하다 물에 빠져 죽었다는 전설에 이르기까지 그가 장안에 있을 때 현종이 불렀는데 크게 취한 상태에서 환관 고역사(高力士)에게 신을 신기게 하며 즉석에서 시를 지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이백 시문의 텍스트로는 당나라 위호(魏顥)가 편찬한 《이한림집(李翰林集)》과 이양빙의 《초당집(草堂集)》이 있으나 지금은 없다. 현존하는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북송(北宋)시대 악사(樂史)가 편찬한 《이한림집(李翰林集, 30권)》과 북송의 송민구(宋敏求)가 편찬한 《이태백집(30권)》이 있다. 주석본(註釋本)으로는 남송의 양제현주(楊齊賢註), 원(元)나라의 소사빈(蕭士贇) 보주(補註) 외 《분류보주이태백집(分類補註李太白集)》과 청(淸)나라 왕기주(王琦註)의 《이태백문집》이 있다.
'好學의 世界史 > [지구촌]中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 最古의 역사가 사마천(司馬遷) (0) | 2009.10.25 |
---|---|
실용주의 CEO型 오왕 손권 (0) | 2009.10.25 |
한무제 유철(漢武帝 劉徹) (0) | 2009.10.25 |
구천을 와신상담케 한 월나라의 명재상 범려(范蠡) (0) | 2009.10.25 |
진시황의 숨겨진 친아버지 여불위(呂不韋) (0) | 200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