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교육 3/(국어사전)國語辭典

거창양민학살사건[ 居昌良民虐殺事件 ]

好學 2012. 9. 12. 19:26

거창양민학살사건[ 居昌良民虐殺事件 ]

 

 

1951년 2월,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일대에서 공비토벌작전을 벌이던 당시 제11사단 9연대 3대대가 주민들이 공비와 내통했다고 잘못 판단하면서 양민 600여 명을 집단 학살한 사건.

 

〔사건배경〕

1951년 2월 중공군의 6·25전쟁 개입에 따른 1·4후퇴, 정부의 두 번째 부산 피난, 그리고 국군과 유엔군의 전면적 반격 개시라는 전황의 와중에서 지리산과 백운산 등 산악지대의 공비에 대해 토벌작전이 한창일 무렵이었다.

거창군 신원면 과장리에 2월 5일 새벽, 공비가 나타나 경찰지서를 습격했는데, 이때 쌍방 30여 명의 전사자가 났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당시 계엄사령부는 보병 제11사단 9연대에 공비토벌을 명령하였고, 이에 소령 한동석이 지휘하는 제3대대는 거창군에 진주하였다.

〔사건현황〕

신원면에 진주한 제3대대는 2월 10일 대현·와룡·내탄·중유 등 6개 마을의 주민들이 공비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내탄마을 골짜기에서 마을 청장년 136명을 기관총으로 학살하였다.

다음날인 11일 주둔군은 주민 1,000여 명에게 신원국민학교로 피난하라는 명령을 내려 주민들은 학교운동장에 모이게 되었다. 주둔군은 1,000여 명의 주민 가운데에서 군인가족, 경찰가족, 그리고 공무원가족들을 가려내고, 남은 500여 명을 박산 개천가로 몰아넣고, 약 2시간 동안 무차별 사격을 가하였다.

당시 부산에 피난중이었던 국회에서는 이 사건에 대하여 논란이 벌어졌는데, 거창 출신 의원 신중목(愼重穆)은 의원 서민호(徐珉濠)와 함께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군에서는 사전경고도 없이 마을을 모두 불태우고 젖먹이부터 16세에 이르는 아이들 327명을 포함하여 최소한 570명을 총살했고, 증거를 없애기 위해 시체를 휘발유로 태운 다음 산에 시체를 묻었다. 죽은 사람의 성별을 보아 여자가 많다는 사실(보고서:남 223명, 여 304명)은 빨치산으로 볼 수 없다는 명백한 증거인 것이다.”

마침내 국회조사단이 현지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이때 가짜 공비조작극을 연출하여 조사단의 활동을 방해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조사단이 현지에 도착하자, 당시 계엄사령관 대령 김종원(金宗元)은 미리 거창군 남상면과 신원면 사이의 계곡에 공비를 가장한 군인과 경찰을 매복시켜 조사단에 총격을 가함으로써 조사단의 현지조사를 저지시켜 버렸다.

거창사건은 1951년 12월 12일 관련자들이 군법재판에 회부되어 선고를 받음으로써 명목상 일단락되었다. 김종원에게 징역 3년, 당시 11사단 9연대장이었던 오익균(吳益均)과 한동석에게 무기징역이 각각 선고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그 뒤 대통령특사로 풀려났으며, 특히 김종원은 경찰의 간부로 다시 등용되었다.

거창사건은 이와 같이 이승만정권하에서는 진상이 은폐된 채 흐지부지되고 말았으나, 4월혁명 이후 유가족들이 사건 당시의 신원면 면장 박영보(朴榮輔)를 불에 태워 죽여버린 사건이 벌어지고, 이에 대한 대검찰청의 재수사가 있게 되면서 사건의 진상이 백일하에 드러나게 되었다. 거창사건은 6·25전쟁에 따른 민족사적 비극의 일단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好學의 교육 3 > (국어사전)國語辭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신참변[ 庚申慘變 ]   (0) 2012.09.12
경신박해[ 庚申迫害 ]  (0) 2012.09.12
거문도사건[ 巨文島事件 ]   (0) 2012.09.12
강화천도[ 江華遷都 ]  (0) 2012.09.12
갑오경장[ 甲午更張 ]   (0) 201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