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기독교와 무속교

好學 2012. 1. 21. 06:17

기독교와 무속교


 

I .


 

한국에 개신교가 전해진 것이 100년을 넘어서면서 선교 2세기를 맞고있다. 그동안 교회는 민족의 수난의 운명을 함께하며 지금까지 성장해 왔다. 그러나 성장한 개신교 이면에서는 "기독교의 무교화"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것도 사실인 것을 부인할 없다. 이에 대해 윤성범 교수는 한국 교회가 무교화 되는 것은 재래 종교에 대한 몰이해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 윤성범 , [재래종교에 대한 이해와 오해], 기독교 사상 , 1974.4.P.84. }}

 

그러면 지금까지의 한국교회의 무교관은 어떤 것이었으며 기독교가 무교와 밀접해 있는 현실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내려져야 하는가 ? 또한 앞으로의 바람직한 교회상은 어떠한 것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II. 기독교와 무교

 

기독교는 선교 초기부터 무속을 [마귀] 단정하고 이에 응전하는 태도로 선교에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결과는 이와 전혀 다른 양상을 가져오고 말았다. 원인 들어보자면 1) 한국인의 기질이 본래 기복적이라든가 2) 싱크레틱하기 때문이라든가 3) 사회적 혼란 속에서 종교가 지도력을 상실했을때 무교화 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든가 하는 사실로 지적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좀더 거슬러 올라가 국의 종교사의 맥락에서 바라볼 때에 한국인의 심성 토착화신학에서 말하는 밭의 문제에 관심하지 않을 없다. 여기에서 유동식 교수는 무교가 한국 문화의 지핵

{{ 유동식 ,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 연세대학교 출판부 , 1981.,P.15. }}

 

이라고 말하면서 무교가 한국인의 심성을 결정했다고 주장한다. 무교는 우리 민중의 정신사적 유전체이며 민중의 생활사이고 사회적 유전체라 할만큼 우리의 생활사를 식해 왔다는 것이다.

{{ 유동식 , 한국종교와 기독교 , 대한 기독교 서회 , 1979 . (12) P.15. }}

 

구체적으로 표현한다면 [무교란 대해 위에 도교니... 불교... 명패만 갈아 끼운 ... 이름만 다른 하나의 무교가 되고 마는]상태

라고 한다. 그러면 무교의 실체는 무엇인가 ?


 

II. 한국 무교의 구조

 

샤만은 전통적으로 사제직, 의무직, 예언직의 세가지 기능을 가져왔다.

{{ 유동식 , [한국종교와 기독교] , P.17. }}

 

한국 교란 한국적 샤머니즘에 대한 고유명사이며 단순한 습속 이상의 것으로 이해되어야 . 유동식 교수가 주장하는 것에 의하면 무교는 세가지 단계로 설명할 있다. 째는 (천신강림과 산신신앙)이고, 둘째는 (인간승화와 곡신신앙)이며, 세째는 성속의 융합 (천지융합과 창조신앙) 기본도식을 세울 있다.

{{ 유동식 ,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 P.16. }}

 

무격신앙을 구성하는 것은 무당과 무의 (굿), 그리고 무가이다. 무당은 종교적 제이며, 무의는 기원제, 구병제, 사령제 등이 있는데 내림굿과 한풀이가 대종을 이루 있다. 무가는 민중의 관심사를 대변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한국의 굿은 명랑한 점이 있어서 이것이 무교가 대중화 되고 있는 강점이라고 유동식 교수는 말한다. 초월적 힘에 의하여 인생문제를 해결하려는 일체의 행위를 종교현상이라고 한다. 국의 종교현상에는 다음의 세가지를 있다.

1) 기성종교 ; 종교적 원리가 역사 속에서 충분히 입증된 종교

2) 신흥종교 ; 기성종교에 반하여 종교적 진실성이 실험되고 있는 단계

3) 민간신앙 ; 조직적 종단이 없는 것이 특징 / 교조, 교리 / 오랜 세월 민중

속에 있으면서 미신시 되고 천대되어 왔다.

 

민간신앙의 특질은 다음과 같다.

{{ 유동식 , [도와 로고스] P.133. }}

1) 주술성 : 인간의 무력감에서 초자연적 힘에 의존하려는 믿음의 물리적 표현

2) 현세 이익성 : 자기중심, 현세중심, 생활중심의 공리적 이익추구

3) 소집단성 : 가족 또는 부락 단위한계 내에서의 봉쇄적 신앙, 횡적 사회적 관계의 결여

4) 비조직성 : 조직과 체계가 없는 자연종교

5) 비실질성 : 인생문제에 대한 궁극적 해결의 추구가 아니라 안이한 방법에 의한 나적 해결의 모색

이와같은 사실은 민중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의미하기도 한다.

 

IV. 한국교회에서 나타나는 무교적 성격

 

기독교를 수용할 있었던 무교의 기본개념들을 고찰해보면, 귀신의 주재신인 하느님사상은 기독교의 하나님을 받아들이는 전이해가 되었고, 마귀를 포함하는 기독교의 신령계는 무교적 신령세계와 견줄 있었다. 또한 무교의 현실주의적 제재초복사상 기독교의 축복사상과 연결되었으며, 모든것을 귀신의 탓으로 돌리는 무교의 타적 신앙체계는 믿기만 하면 형통한다는 기독교의 사상과 연결되었다. 이러한 연결은 대체 공리적인 있었다는 점을 주목하면 좋겠다. 공리성만 충족된다면 종교가 가지 있는 표현형태는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여기에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해야 인간의 자세는 나타나지 않는다.

기독교와 무교화의 실례를 아래와 같이 있겠다.

 

{{ 민병소 , [한국 기독교와 샤머니즘이해] , P.33. }}

[대형집회 (부락제), 호화성전 (성황당, 신당), 신유은사예배 (병굿), 축복예배 (재수굿), 기도원 (산당), 부흥회 (무당의 단골판), 간증 (무당의 공수), 성미표 헌금영수 (부적과 동일효과), 십자가 (Totem), 헌금강요 (복채), 신령한 목사 (내린 무당)] 무교화를 가속화 시키는 몇가지 중요한 .

1) 제단 : 평신도가 성령체험 (강신체험) 하고서 자가에서 예언을 주는 사례

2) 기도원 : 이에대한 기성교회의 호흥은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기나, 충전소 역할함

3) 목회자 : 평신도가 갑자기 은혜체험(강신체험) 신령한 정규과정 없이 목사가

4) 교회이름 : [세계교회, 경기제일교회, 극동중앙교회] 물질주의는 무속의 특성이

5) 헌금명세 : 감사헌금 (생일, 입학, 건강, 범사, 심방) 특별헌금....

6) 기도 : 병기도 ? (안수기도, 안찰기도) 예언기도, 방언기도, 축복기도,

7) 새벽기도 : 길선주 목사가 평양 장대현 교회에서 1906년에 시작하므로 퍼지게

8) 입산기도 : 1928 이용도 목사가 신학교 졸업후 입산

9) 기독교식 제례 : 입관예배, 발인예배, 하관예배, 삼우제때 예배, 탈상예배, 도예배

이중에서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 의미있는 것은 많지 않다고 보여진다.

 

V .

 

종교는 고정된 가치체계가 아니라 새로운 가치창조의 세계를 제시해야 한다. 이에 우리의 문화적 저력을 다시한번 고찰하면서 저력을 활용할 있도록 해야할 것이. 유동식 교수가 지적한 자기부정을 매개로 자기를 실현해 가는 무교의 변증법 전개를 통해서, 무교의 관용적 신앙을 통해서, 건전한 현실 긍정적 모색을 통해서, 기독교와의 만남을 시도해야 것이다. 유동식 교수의 무교연구는 초기의 부정적 무교관에서 이제는 풍류도로 표현되는 멋진 삶으로서의 한국인의 심성에 이르게 되었다. 초월적인 "" 현실적인 "" 창조적 긴장관계인 태극적 관계에서 나오 "" 길에서 나타난 한국 신학으로서의 풍류 신학에서 하나의 가능성을 기대할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 변선환 박사 회갑 논문집 , [종교다원주의와 신학의 미래] , P.19-37. }}

미래의 종교는 인간의 해방을 초래하는 종교이어야 것이며, 인간성의 회복, 인간 존엄성이 보장되는 종교이어야 것이다. 이런 차원에 무교와 기독교가 긍정적으로 만날때 한국 기독교는 통일된 민족신앙으로 발전할 있을 것이다.

 

'好學의 歷史,宗敎,哲學 > (종교)韓國 의 宗敎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교(儒敎). 1  (0) 2012.03.15
한국사상사  (0) 2012.01.21
反宗敎的 비방 넘치는 世界  (0) 2011.08.24
현대유교의 반성과 회고   (0) 2011.08.20
한국유교 역사  (0) 2011.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