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行爲, 關係>와 관련된 속담과 격언 2

好學 2009. 4. 25. 22:00

 

<行爲, 關係>와 관련된 속담과 격언 2

 

불가능
  (
不可能)

猫項懸鈴 (묘항현령)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 ⑴ 절실하게 바라는 일이지만 실현이 불가능한 경우를 이르는 말. ⑵ 실행 불가능한 일을 헛되게 논의만 함을 의미.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고양이 목에 방울을 매단다.
[한자풀이] 猫(묘) 고양이 / 項(항) 목 / 懸(현) 매달다,걸다 / 鈴(령) 방울

근신
   (
謹愼)

莫交三公 愼吾身 (막교삼공 신오신)
勿見三公 護我一躬 (물견삼공 호아일궁)
莫交公 愼吾躬 (막교공 신오궁)
▶ 삼 정승 사귀지 말고 내 한 몸 조심하라.
☞ 권력에 빌붙어 혜택을 보려 하지 말고 자신의 할 일이나 잘 하라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耳談續纂(이담속찬),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삼 정승 사귀지 말고 내 몸 조심하라.
  삼 정승 보지 말고 내 한 몸 보호하라.
[한자풀이] 莫(막) 없다,-말라 / 交(교) 사귀다 / 愼(신) 삼가다 / 勿(물) -말라[=毋] / 護(호) 지키다,보호하다 / 躬(궁) 몸,몸소

무모함

宿虎衝鼻 (숙호충비)
▶ 자는 범 코침 주기. (자는 벌집 건드리기, 긁어 부스럼, 빈대 한 마리 잡으려다 초가 삼 칸 다 태운다.)
☞ 쓸데없이 잘못 저질러서 위험을 자초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잠든 호랑이 코를 찌른다.
[한자풀이] 宿(숙) 잠자다, (수) 별 / 衝(충) 찌르다,부딪히다,중요한 곳 / 鼻(비) 코

자초
   (
自招)

자업자득
(
自業自得)

春山雉以鳴死 (춘산치이명사)
▶ 봄 꿩이 제 울음에 놀란다. (제 방귀에 놀란다)
☞ 묻지도 않은 상황을 발설해서 자신에게 재앙을 자초한 경우를 이르는 말.[
출전 -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봄 산의 꿩이 울음 소리로 죽었다.
[한자풀이] 雉(치) 꿩 / 鳴(명) 울다

겸사겸사

일석이조
(
一石二鳥)

我謁縣宰 兼受賑貸 (아알현재 겸수진대)
▶ 원님도 보고 환곡(還穀)도 탄다. (원님 보고 송사(訟事) 본다.)
☞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함께 도모하려 한다는 의미. [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내가 현재상[원님]을 알현하고 구휼 대부도 겸해서 받는다.
[한자풀이] 謁(알) 알현하다,아뢰다 / 縣(현) 고을,현 / 宰(재) 재상 / 兼(겸) 겸하다 / 受(수) 받다 / 賑(진) 구휼하다 / 貸(대) 빌리다

일거양득
(
一擧兩得)

啖梨之美 兼以濯齒 (담리지미 겸이탁치)
▶ 배 먹고 이 닦기. (배 먹고 배속으로 이 닦는다.)
☞ 하나의 이득을 본 뒤에 그 것을 이용해서 또 다른 이익을 도모한다는 의미. [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배의 맛있는 것을 먹고 겸해서 이를 닦는다.
[한자풀이] 啖(담) 씹다,삼키다 / 梨(리) 배 / 濯(탁) 씻다 / 齒(치) 이빨

쉬운 일

言他事食冷粥 (언타사식냉죽)
▶ 남의 말 하기는 식은 죽 먹기.
☞ 자기 잘못은 감추려 하면서도 남의 잘못은 꼬집어 말하기가 쉽다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남의 일을 말하는 것은 차가운 죽을 먹는 것 같다.
[한자풀이] 他(타) 다르다 / 冷(랭) 차갑다 / 粥(죽) 죽

불가능
  (
不可能)

豆腐喫 齒或落 (두부긱 치혹락)
▶ 두부 먹다 이 빠진다. (홍시 먹다 이 빠진다, 방 바닥에서 낙상한다.)
☞ ⑴ 너무 여유있게 마음을 놓았다가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는 의미. ⑵ 분명하게 처리하는 일에 뜻밖의 실수를 저지를 때를 이르는 말. [
출전 -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두부 먹다가 이빨이 혹 떨어졌다.
[한자풀이] 豆(두) 콩 / 腐(부) 썩다 / 懸(현) 매달다,걸다 / 鈴(령) 방울

싸움

宗族之鬪 不異狗鬪 (종족지투 불이구투)
▶ 일가 싸움은 개 싸움.
☞ ⑴ 일가 친척끼리 싸우는 행위는 개들이 싸우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뜻으로 짐승만도 못하다는 의미. ⑵ 일가 친척끼리의 싸움은 싸울 당시만 문제이지 원한이나 복수심 등은 품지 않는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종족의 싸움은 개 싸움과 다르지 않다.
[한자풀이] 宗(종) 마루,일가,주인 / 鬪(투) 싸우다 / 異(이) 다르다 / 狗(구) 개

권선
   (
勸善)

勸賣買 鬪則解 (권매매 투즉해)
▶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리랬다.
☞ 좋은 일은 서로 권하고 나쁜 일은 말려야 된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매매는 권하고 싸움은 풀어라.
[한자풀이] 勸(권) 권하다 / 賣(매) 팔다 / 買(매) 사다 / 鬪(투) 싸우다 / 解(해) 풀다,해결하다

재앙
   (
災殃)

鯨戰鰕死 (경전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독 틈에 탕관.)
☞ 힘이 강한 자끼리 싸우는 사이에서 아무런 상관도 없는 약한 자가 피해를 본다는 의미.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
[한자풀이] 鯨(경) 고래 / 戰(전) 싸우다 / 鰕(하) 새우

악행
   (
惡行)

乾木水生 (건목수생)
▶ 나른 나무에 물 내기.
☞ 있을 수 없는 불가능한 것에 억지로 짜맞추려는 일을 이르는 말.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마른 나무에서 물을 생기게 한다.
[한자풀이] 乾(건) 마르다

악행
  (
惡行)

遇死僧習杖 (우사승습장)
▶ 죽은 중에 곤장(棍杖) 익히기.
☞ 힘없고 약한 사람을 공연히 괴롭히는 상황을 이르는 말.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죽은 중을 만나 곤장을 익힌다.
[한자풀이] 遇(우) 만나다,대접하다 / 僧(승) 중 / 習(습) 익히다,습관 / 杖(장) 몽둥이, 곤장

악행
  (
惡行)

일어탁수
(
一魚濁水)

一箇魚渾全川 (일개어혼전천)
▶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강물을 흐린다. (실뱀 한 마리가 온 바닷물을 흐린다.)
☞ 못된 한 사람이 온 집안이나 사회를 망쳐놓는다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한 마리 물고기가 온 시냇물을 흐리게 한다.
[한자풀이] 箇(개) 낱,개수 / 渾(혼) 흐리다,섞이다,온 / 全(전) 온전하다,온

재앙
   (
災殃)

사후약방문
(
死後藥房文)

失馬治廐 (실마치구)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도둑 맞고 사립문 고친다, 밀 잃고 외양간 고친다. )
☞ ⑴ 일이 실패로 돌아간 뒤에야 대비해서 고치려고 한다는 의미. ⑵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후회해야 소용이 없다는 의미.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말을 잃고 마구간을 고친다.
[한자풀이] 治(치) 다스리다 / 廐(구) 마구

사후
   (
事後)

神祀後鳴缶 (신사후명부)
▶ 굿 뒤에 날 장구 친다. (원님 떠난 뒤에 나팔 분다, 굿 마친 뒷장구)
☞ 이미 일이 끝나고 지나간 뒤에 쓸데없이 뒷북을 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신령 제사 지낸 뒤에 장구 소리 난다.
[한자풀이] 神(신) 신령,정신 / 祀(사) 제사지내다 / 後(후) 뒤 / 鳴(명) 울다 / 缶(부) 장구

나태
  (
懶怠)

유유상종
(
類類相從)

善睡家 善眠者聚 (선수가 선면자취)
▶ 조는 집은 대문 턱부터 존다. (잠보 집은 잠보만 모인다. 조는 집에 자는 며느리 온다.)
☞ ⑴ 나태하고 게으른 집안에는 오는 사람마다 게으르고 나태해 진다는 의미. ⑵ 비슷한 부류끼리 모인다는 의미.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잠 잘 자는 집안에는 잠 잘 자는 사람이 모인다.
[한자풀이] 睡(수) 잠자다 / 眠(면) 잠자다 / 聚(취) 모이다

게으름

三日之程 一日往 十日臥 (삼일지정 일일왕 십일와)
▶ 사흘 길에 하루쯤 가서 열흘씩 눕는다.
☞ ⑴ 나태하고 게을러 일을 도모할 수가 없다는 의미. ⑵ 일을 너무 급하게 서두르다가 도리어 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는 의미. [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삼일의 노정에 하루 가고 열흘 눕는다.
[한자풀이] 程(정) 길,한도,법 / 往(왕) 가다 / 臥(와) 눕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