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동양명언]

상형자 : 신체 관련[9]- [ 爪 / 欠 ]

好學 2011. 2. 15. 21:09

 

상형자 : 신체 관련[9]- [ 爪 / 欠 ]

 

 

 

 

 

손톱 조

 [조] 손톱, 긁다, 잡다 - 부수자[4획]

 ▶변천  ▶필순

자원 : 위에서 아래의 물건을 덮어 움켜쥐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잡고 있는 손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손가락 끝의 '손톱'의 뜻으로 사용됨.
▷ 부수의 의미도 '손으로 잡는다'는 손의 동작으로 주로 활용됨. 또 '爪'가 한자의 머리에 사용되면 모양이 변하는데, 이를 '손톱머리'라 불림.[예) 爲(위) ]
▶ '爪(조)'는 기초한자에 포함되지 않고 관련 한자가 많지 않아서 몇 가지만 정리하면 됨. 또한
'오이'의 뜻을 지닌 '瓜(과)'와 글자 모양의 구별에 유의해야 함.

예시단어 : 爪甲(조갑)

성어 : ▷ 爪牙之臣(조아지신): 손발톱이나 어금니 같은 신하. 충신.

파생한자 : 爲(위) 하다 / 爭(쟁) 다투다 / 爵(작) 벼슬.

하품 흠

 [흠] 하품, 흠 - 부수자[4획]

 ▶변천  ▶필순

자원 : 사람이 앉아서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본따 입에서 입김이 나오는 모양을 강조한 글자로, '하품'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상하거나 잘못되었거나 흉이 될 만한 부분을 일컬을 때도 '欠(흠)'이라 사용함. 또 '모자라다'는 의미의 '缺(결)'의 약자로도 사용됨.
▷ 부수의 의미도 '입을 벌리다', '하품하다' 등에서 확장되어 입에서 나오는 소리나 행위까지 활용됨.
▶ '欠(흠)' 역시 기초한자에 포함시키지 않지만, 여러 한자들의 부수로 사용되기에 잘 이해해야 함. '치다'는 의미의 '(복)' 부수와 모양의 구별에 유의해야 함.

예시단어 : 欠伸(흠신): 하품과 기지개 / 欠點(흠점)

파생한자 :  次(차) 다음 / 歌(가) 노래 / 歎(탄) 탄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