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歷史,宗敎,哲學/(종교)韓國 의 宗敎들

신흥종교

好學 2009. 4. 19. 19:08

개요

성립시기가 오래된 제도종교와는 달리 새롭게 형성된 종교.

신흥종교라고도 한다.

이때 '새롭다'라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고정된 기준을 설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성종교보다 역사가 짧기 때문에 교리의 정교화, 종교의례의 제도화, 교단조직의 체계화 측면에서 초보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이런 이유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 이른바 '결핍된 종교'로 비춰지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종교와 다른 측면을 내세운다거나 강조하기 때문에 제도종교로부터 이단·유사종교·사이비종교·사교(邪敎) 등으로 배척받기도 하나 사실 그 근거는 자의적·결과론적이다.

자의적이란 의미는 종교와 유사종교를 가르는 기준이 애매모호하다는 것이며, 결과론적이란 의미는 사회의 윤리규범에 결과적으로 어긋났을 경우 사이비종교 또는 사교의 표지가 붙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제도종교가 신종교에 대해 가하는 부정적 평가는 기득권 침해에 대한 예민한 반응으로 볼 수도 있다. 물론 신종교 가운데 기존의 제도종교를 극복하고 나와야 할 만큼의 새로운 전망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오히려 기존사회의 타락한 흐름에 빠져버리는 경우도 없지 않다.

발생원인

신종교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첫째, 사회구조적 결함,

둘째, 기존종교의 결함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회구조적 결함의 관점은 사회의 급격한 해체 및 변동, 전통적 공동체의 권위 상실, 그로 인한 아노미 현상, 상대적 박탈감 등으로 생겨난 불안해소의 구조로 신종교를 설명하는 것이다.

기존종교의 문제점의 관점은 기존종교의 물질주의 성장 위주의 정책, 중산층 중심 경향, 권위주의적·경쟁주의적 성향을 지적하면서 하층민의 소외를 신종교 등장의 원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런 설명은 부분적으로는 타당하지만 신종교가 지니고 있는 창조성, 탄력적 반응의 능력들을 무시할 위험성이 있으며, 신종교를 병리적 현상으로 규정짓게 된다.

종교와 도덕규범이 비록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종교를 기존 윤리의 척도로 잴 수만은 없다. 왜냐하면 기존 도덕규범의 정체성(停滯性)·경직성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를 신종교에서 제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황 및 전개

한국의 신종교를 거론할 경우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친 시기와 1950~70년대에 걸친 시기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첫번째 시기에 나타난 신종교는 동학·증산교·대종교·원불교 등이 대표적이며,

2번째 시기에는 통일교·대순진리회·천부교·영생교 등이 유명하다.

 

동학은 서학, 즉 서양종교 및 서구적 세계관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성립된 종교운동으로 반외세의 민족운동과 반봉건의 민중운동을 결합시켰다는 관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최제우가 죽은 뒤 최시형이 탁월한 지도력으로 교단조직과 교리체계를 정비했으나 갑오농민전쟁의 패배 후 체포되었다. 그후 손병희에 의해 천도교로 개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동학계 신종교로는 시천교(侍天敎)·수운교(水雲敎)·진동학제화교(眞東學濟和敎)·동학본부(東學本部) 등이 있다.

 

증산교는 증산(甑山) 강일순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갑오농민전쟁 패배 후의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후천개벽'(後天開闢) '해원상생'(解寃相生)이 주요사상이며 주술적 측면이 부각되어 있다. 강일순이 죽은 뒤 후처인 고씨부인(본명은 高判禮福)이 1941년에 선도교(仙道敎) 또는 태을교(太乙敎)를 창립했으며 그밖에 증산대도교·제화교(濟化敎)·미륵불교·보천교(普天敎) 등이 나타났다. 그중에서 보천교는 가장 두드러지게 신장되어 교주인 차경석(車京石)은 차천자(車天子)로 불리면서 황제 즉위식을 갖기도 했다. 신도수가 자칭 600만 명, 간부가 60만 명이라고 주장할 정도로 교세가 강성했으나 일제의 탄압을 받고 위축되었다. 그후 보천교 내에서 계속 분파활동이 일어나 동화교(東華敎)·태을교·무을교(戊乙敎)·삼성교(三聖敎)·천인교(天人敎)·보화교(普化敎)·인천교(人天敎) 등이 생겨났으며 다른 증산계에서도 증산교본부·순천교(順天敎), 태극도(太極道)·법문파(法文派)·김사모파(金師母派)·오동정이파 등이 분파되어 일제강점기에는 100여 개에 달하는 신종교군이 형성되었다. 1938년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해산령'으로 교단이 해산되었으나 8·15해방 후 재건되어 현재 증산 계통의 신종교는 매우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대표적인 것은 조철제의 태극도에서 파생된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로 1972년 박한경에 의해 창시되었다. 30만 명이 넘는 신도수를 지니고 있고1992년 대진대학을 설립했으며 교육사업 및 의연금 기탁 등으로 유명하다. 증산사상연구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증산진법회(甑山眞法會)는 1973년 배용덕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증산사상에 관한 활발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대학생 조직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증산도는 경전(耕田) 안중건(安重建)이 1980년 대법사증산교(大法社甑山敎)에서 개명하고 종정(宗正)으로 취임하면서 활발해졌다. 대학 내의 동아리와 강연회를 통해 포교활동을 벌이고 있다.

 

대종교는 단군신앙을 조직화한 것으로 1909년 홍암(弘巖) 나철(羅喆:1864~1916)이 창시했다. 민족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하여 한일합병 이후 독립운동을 전개했고, 항일무장투쟁중 유명한 청산리대첩은 바로 대종교신자들이 주축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혹독한 탄압으로 교세는 많이 위축되었고 8·15해방 후에도 신장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1980년대의 새로운 민족주의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자체 정비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밖에도 개천교(開天敎)·단군영모회(檀君永慕會)·아아신궁(亞亞神宮)·광명도(光明道)·단군성주교(檀君聖主敎)·한얼교 등 50여 개의 단군신앙계 신종교가 있다. 그중 신정일이 1965년 창립한 한얼교는 1987년 정당을 창당하여 대통령후보를 낸 바도 있다.

동학계·증산계·단군신앙계 이외에도 1915년 이선평에 의해 창시된 각세도(覺世道)와 그로부터 파생된 대각교(大覺敎)·정도교(正道敎)·천인교(天人敎)·귀임교(歸任敎) 등의 신종교들이 있다. 또한 김봉남에 의해 창시된 봉남교(奉南敎) 계통의 신종교군도 20여 개 존재한다. 찬물을 마시게 하여 질병을 고치게 하므로 찬물교라고도 하는 물법계[水法界] 또는 봉남교계의 신종교로는 무량교(無量敎)·용화삼덕교(龍華三德敎)·태화교(太和敎)·천지대안교(天地大安敎)·삼법수도원(三法修道院)·대한도교(大韓道敎) 등이 있다.

 

원불교는 소태산(少太山) 박중빈에 의해 1916년 창시된 종교로 저축운동과 간척사업을 통해 기반을 닦으면서 독자적인 불교계 교단을 형성했다. 8·15해방 후 전라북도 이리의 원광대학교를 중심으로 교리체계화작업과 교단정비작업을 펴서 현재 건실한 교단운영을 하고 있다. 그밖에도 영가무도교(詠歌舞蹈敎)·대종교(大宗敎)·광화교(光華敎)·금강불교(金剛佛敎) 등의 남학계(南學系) 신종교와 갱정유도(更定儒道)로 대표되는 유교계 신종교가 있다.

1950년대 이후에는 기독교계 신종교가 두드러졌는데 사회 전반적으로 기독교가 급성장하기 시작한 시대 분위기와 연관이 있다. 이중 통일교는 정식명칭이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로서 1954년 문선명에 의해 창시되었다. 교주의 체험에서 비롯된 반공주의와 성적 타락을 주장하는 성서 해석이 독특하며, 방대한 기업경영과 세계적 규모의 언론계 및 학계를 소유하고 있다. 국제적 명성에 비하면 국내 신도수는 적은 편이나 최근 적극적인 전도활동을 벌이고 있다.

1950년대부터 활발한 전도활동을 전개한 박태선은 교단 전도관(傳道館)을 세우고 곳곳에 신앙촌을 건립하면서 메시아를 자처했다. 승리제단 또는 영생교는 조희성이 전도관에서 나와 1980년에 만든 교단으로 급박한 종말을 주장하면서 교인이면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하며 전도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밖에도 1980년 통일교를 탈퇴하고 정명석이 세운 애천교회, 1964년 안상홍이 세운 안상홍증인회 등이 활동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학계·증산교계·단군신앙계·유교계·불교계·남학계·기독교계뿐만 아니라 관성교(關聖敎)·무량천도(無量天道)와 같은 무속계 신종교도 있고 점술과 관련된 구통도가(九統道家), 외계인과 UFO에 관련된 우주신령학회, 라에리안 운동협회와 같은 신종교도 있다.

한편 외국의 종교들이 한국에 유입된 경우에도 그것을 신종교의 범주에 넣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일본계의 일련정종(日蓮正宗), 천리교(天理敎), 생장(生長)의 가(家), 선린회(善隣會),

중국계의 일관도(一貫道),

미국계의 여호와의 증인, 모르몬교, 안식교, 하나님의 자녀 등이 그것이다.

사회사적 의미

종교는 일반적으로 사회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따라서 신종교의 발생은 사회의 변동에 대한 반응이면서 동시에 사회변동의 촉발제가 되기도 한다.

신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는 일방적이 아니라 상호적이라는 것이다. 신종교는 사회의 왜곡된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보여주는 경우도 있고, 사회를 새롭게 갱신시키는 참신한 전망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한마디로 신종교는 양가적인 가치와 방향을 모두 지니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쪽 면만을 볼 경우에는 전모를 파악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