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 솔로몬의 재판 탈무드 - 솔로몬의 재판 솔로몬왕은 뛰어난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안식일에 세 사람의 유태인이 예루살렘에 찾아왔다. 당시에는 은행이란 것이 없어서 세사람은 가지고 있던 돈을 함께 땅에 묻었다. 그런데, 그들 가운데 한 사람이 몰래 땅 속에 묻어 놓은 돈을 몽땅 꺼내갔다. 이튿날 세 사람은 지혜..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8
탈무드 - 은화가 든 지갑 탈무드 - 은화가 든 지갑 어떤 장사꾼이 도시에 물건을 사러 갔을 때 며칠후에 염가 판매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그때까지 기다렸다가 물건을 사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는 많은 현금을 몸에 지니고 있었으므로 몹시 불안했다. 그래서 그는 조용한 곳으로 가서 가지고 있던 돈을 전부 땅에 파묻었다.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8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2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2 1-7. 위임식 제사(22-29)-수양과 무교병- 자신을 헌신하는 번제가 드려진 후에 제사장 직분을 위임하는 제사가 드려졌다. 이 제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가. 안수 나. 수양을 잡음 다. 그 피를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바름 모세는 잡은 위임식 수양의 피..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08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1 제23과 레위기(3): 제사장 위임식과 첫 제사(8-10장) 1 * 들어가는 말 우리는 지난 시간에 "5대 제사의 규례", 즉 절차와 방법 및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오늘 우리가 생각해 볼 내용은 (레 8-10장)입니다. (레 8-10장)에는 세 가지 중요한 사건(제사장과 회막의 성별, 아론의 첫 제사, 제사직의 정.. 호학의 교육 2/[인터넷성경교육] 2011.02.08
탈무드 - 향료 탈무드 - 향료 어느 안식일에 오후에, 로마의 황제가 친분이 있는 랍비의 집을 찾아갔다. 그는 미리 연락도 하지 않은 채 갑자기 찾아갔으나, 그곳에서 매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음식은 매우 맛이 좋았고, 식탁 둘레에서는 사람들이 소리를 맞추어 노래부르며 [탈무드]에 나오는 이야기로 꽃..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
탈무드 - 강한 자와 약한 자 탈무드 - 강한 자와 약한 자 이 세상에는 약하면서도 강자에게 공포감을 느끼게하는 것이 네가지가 있다. 모기는 사자에게 공포감을 주고, 거머리는 코끼리에 공포감을 주고, 파리는 전갈에게 공포감을 주고, 거미는 매에게 공포감을 느끼게 한다. 아무리 크고 힘이 센 자라도, 항상 막강한 것은 아니..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
탈무드 - 고별인사 탈무드 - 고별인사 어떤 사람이 긴 여행을 계속한 탓으로 몹시 지쳐있었고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 사람은 사막을 한참 걸은 후, 간신히 나무가 자라고 있는 오아시스에 이르렀다. 그는 나무 그늘에서 지친 몸을 쉬며 굶주린 배를 과일로 채우고 시원한 물로 갈증을 푼다음 안도와 숨을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
탈무드 - 여섯 가지 계율 탈무드 - 여섯 가지 계율 시대의 유태인들은 흔히 비유태인들과 함께 일과 평소 생활을 함께 하기도 하였다. 유태인에게는 천사가 당부한 603가지의 계율이 있으나 유태교에서는 굳이 비유태인을 유태화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선교사를 보내는 일은 하지 않았다. 다만 서로 간의 평화로운 ..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
탈무드 - 병문안 탈무드 - 병문안 환자를 찾아가 위로하면, 그 환자의 병은 60분쯤은 낫는다. 그렇다고 60명이 일시에 병 문안을 간다고 해서 환자의 병이 단번에 완쾌되는 것은 아니다. 죽은 사람의 무덤을 찾는 것은 가장 고상한 행위이다. 병 문안은 환자가 나으면 그 사람으로부터 감사의 인사를 받을 수 있지만 죽은..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
탈무드 - 감사함 탈무드 - 감사함 이 세상 최초의 인간은 빵을 먹기 위하여 얼마나 많이 일을 해야 했을까. 먼저 밭을 갈아 씨를 뿌리고, 그런 뒤 그것을 가꾸어 거두어드려서 빵아 가루로 만들고, 반죽하고, 굽는 등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안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돈만 있으면 빵집에서 만들어 놓.. 호학의 교육 2/(Talmud)유태인격언 201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