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성선(性善)에의 신뢰 / 맹자(孟子) 맹자(孟子) 인간 성선(性善)에의 신뢰 맹자 양나라 혜왕을 찾아 뵈신대 왕(혜왕)이 말씀하시되 “노인께서 천리를 멀다아니 하시고서 나를 찾아 오시니 또한 장차 써 우리 나라에 유익한 일이 있으십니까?” 맹자 대답하여 말씀이시되 “왕은 어찌 반드시 이(利)를 말합니까? 또한 인(仁)과 의(義)가 있.. 好學의 歷史,宗敎,哲學/[동양철학]한국·中國·인도 2010.02.12
인간, 특히 군주가 찬양받거나 비난받는 몇 가지 이유/마키아벨리 인간, 특히 군주가 찬양받거나 비난받는 몇 가지 이유 이제는 군주가 신하들이나 자기편 사람들에게 대하여 어떤 수단이나 태도를 취하여야 할 것인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이 점에 관해서는 많은 논자들이 이미 여러 가지로 저술한 바 있고, 여기서 내가 새삼스럽게 이 문제를 다룬다면 나의 주제의 .. 好學의 歷史,宗敎,哲學/[동양철학]한국·中國·인도 2010.02.12
자연으로 돌아가라/루소 (Rousseau, Jean-Jacques) 자연으로 돌아가라 조물주가 처음에 만물을 창조할 때는 모든 것이 선이었다. 그러나 인간의 손이 닿으면서 모든 것이 타락한다. 인간은 어느 한 땅에 다른 땅의 산물을 키우려 하고, 어느 한 나무에 다른 나무의 과실을 맺게 하려고 애쓴다. 인간은 풍토와 생활환경과 계절을 섞어서 뒤죽박죽이 되게 .. 好學의 歷史,宗敎,哲學/[동양철학]한국·中國·인도 2010.02.12
한국의 유교 한국의 유교 를 테이블 삽입 기점으로 삼는부분이다. 이 부분은 Word에서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바꾸기 작업해야 한다 ^p^p^p^p^p --> 역사적 개관 고대에서 고려시대까지 한국유교의 시원에 관한 견해는 대체로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BC 12세기경 은(殷)나라가 망하자 기자(箕子)가 고조선으로 와서.. 好學의 歷史,宗敎,哲學/[동양철학]한국·中國·인도 2009.03.24
성리학 (性理學) 성리학 (性理學) 개요 유교에 철학적 세계관을 부여하고 유교를 심성 수양의 도리로 확립한 새로운 학풍. 성립과 의미 중국에서는 이미 당대부터 종래의 훈고학(訓學)과는 다른 유교학풍을 세우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그 노력은 북송대에 이르러 성리학이라는 사상체계와 학문방법을 갖추기 시작.. 好學의 歷史,宗敎,哲學/[동양철학]한국·中國·인도 2009.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