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俗談 - 나 - 漢字俗談 - 나 - 낙다현우익의(樂多賢友益矣):/어진벗과는 즐길수록 유익하다→어진 친구와는 교제할수록 유익하기 때문에 가까이 지내야 한다는 뜻 낙망이원대흥(樂亡而怨 興):/음악이 없으면 원망하는 마음이 일어난다→음악은 사람의 마음을 바로 잡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뜻 ..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5.06
漢字俗談 - 다 - 漢字俗談 - 다 - 다남자즉다구(多男子則多懼):/아들이 많으면 두려운 일도 많다→자식 많은 부모는 항상 자식 걱정을 하게 된다는 뜻 다문견이식(多聞見而識):/많이 듣고 보는 것이 아는 것이다→많이 듣고 많이 보면 저절로 알게 된다는 뜻 다산승 소산불승(多算勝 少算不勝):/승산이 많..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5.06
漢字俗談 - 마 - 漢字俗談 - 마 - 마여마우즉결제(馬與馬遇則결제):/말과 말이 만나면 발이 서로 찬다→사나이와 사나이가 만나면 서로 싸우기가 쉽다는 말 마육진식 가생취(馬肉盡食 可生臭):/말고기를 다 먹고 무슨 냄새가 난다고 한다→배 고플 때 잘 먹던 것도 배가 부르게 되면 타박한다는 말. 아쉬울..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5.06
漢字俗談 - 바 - 漢字俗談 - 바 - 박박주 승다탕(薄薄酒 勝茶湯):/술이 나쁠지라도 차보다 낫다→손님 접대에 있어서는 술로 대접하는 것이 좋다는 뜻 반석무전이(盤石無轉移):/반석은 굴러가지 않는다→땅속에 깊숙이 박힌 바위는 구르지 않듯이 기반이 튼튼하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 반식자우환(半識..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5.05
漢字俗談 - 사 - 漢字俗談 - 사 - 사마부조 조부불능이취도(駟馬不調 造父不能以取道): /사두 마차도 길을 들이지 않으면 마부도 다룰 수 없다→집권자도 하부 사람들과 화목하지 않으면 정치가 잘 될 수 없다는 뜻 사목비시무욕견야(使目非是無欲見也): /그른 것은 눈으로 보려고 하지 마라→나쁜 것은 ..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5.05
漢字俗談 - 차- 漢字俗談 - 차- 차인물 불가손괴불환(借人物 不可損壞不還) :/남에게 빌린 물건은 파손시키거나 돌려 주지 않아서는 안된다→남에게서 귀중한 물건을 빌렸르면 귀중하게 취급하여 파손이나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약속된 기일을 엄수해야 한다는 뜻 차지무주사 홍토자위귀(..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4.26
漢字俗談 - 카,타,파 - 漢字俗談 - 카,타,파 - 쾌도난마(快刀亂馬) :/잘 드는 칼로 삼을 후려치듯 한다.→전투에서 적을 많이 살상시켰다는 말 쾌심사과필위앙(快心事過必爲殃):/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일이라도 지나치면 반드시 재앙으로 된다→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지나치게 되면 도리어 재앙으로 되기 때문에..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4.25
漢字俗談 - 하 - 漢文俗談 - 하 - 하민지얼 비강자천(下民之孼 匪降自天) : /세상 사람들이 받는 화는 하늘에서 내려온 것은 아니다→사람들이 화를 받게 되는 것은 하늘에서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지는 대가라는 말 하불천상시즉난야(下不天上施則亂也)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하늘처럼 여기지 않는다..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4.25
우리속담 모음 우리속담 모음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가까운 무당보다 먼 데 무당이 영하다.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가난 구제는 지옥 늧이라.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도 크다. 가는 말에 채찍질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2.01.24
속담과 한자성어의 만남 속담과 한자성어의 만남 한자성어 우리말 속담 및 풀이 渴而穿井 (갈이천정) 목마른 사람이 우물 판다. ☞ 자신이 급해야 일을 시작하게 됨. 臨渴掘井(임갈굴정). <渴(갈) 목마르다 / 而(이) 말잇다 / 穿(천) 뚫다 / 井(정) 우물> 甘呑苦吐 (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 .. 好學의 敎育 1/[속담·유머] 201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