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석]‘산악 그랜드슬램’도전 북극점 가는 박영석씨
![]() |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에 도전하는 산악인 박영석 씨(42·골드윈코리아 이사·동국대 산악부OB). 그는 마지막 남은 북극점 원정 준비에 정신이 없었다. 그런 박 씨를 출발을 이틀 앞둔 22일 숨바꼭질하듯 만났다. 새벽에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아파트로 찾아가 몇 마디 이야기를 나눈 뒤 구로구 구로동 고려대병원에 간다며 집을 나서는 그를 따라 택시 안에서 얘기를 이어갔다. 천하의 ‘강철 인간’ 박영석이 어디가 아픈 걸까.》
“20년 넘게 해외 원정을 다니다보니 크게 다치지 않고선 병원에 간 적이 없어요. 그러다 회사에서 하도 닦달하는 바람에 지난해 처음 종합검진을 받아봤는데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인의 몇 배나 됐습니다. 섭씨 영하 50도가 보통인 북극 원정에 대비해 체중을 10kg 이상 불려서 그런 것 같아요. 북극 얼음 위에서 한 보름 뒹굴다보면 금세 정상 수치로 돌아오겠지만 그래도 겁이 나잖아요. 처방도 받고 주의사항도 들어보려고요.”
히말라야 원정 때 해발 5300m 베이스캠프에서 소주를 마시고 산소가 평지의 40%도 채 안되는 해발 7000m에서도 담배를 피우던 그다.
“나이 드는 것은 속일 수 없나 봐요. 이번 원정에서는 대원들 모두 술과 담배를 입에 대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
![]() |
불혹을 넘긴 나이, 몸도 예전 같지 않다면 이제 험한 오지는 그만 다니고 편히 살만도 하다. 넌지시 은퇴 같은 것을 생각해 보지 않았느냐고 묻자 “나보고 쉬라고요? 걱정된다고 했지 언제 못 다닐 정도라고 했나요”라며 대번에 얼굴이 벌게진다.
“히말라야 고산만 다니다가 2003년 처음 북극점 원정에 나섰는데 산하고는 많이 다르더군요. 영하 50도이던 기온이 금세 영하 20도가 되는가 하면 얼음은 얼마나 잘 깨지던지…. 워낙 위험한 곳이고 그랜드슬램을 완성하는 도전이니까 몸도 마음도 새롭게 가다듬겠다는 거예요. 체력은 문제없다고요.”
북극점 도전은 이번이 두 번째. 2003년 첫 번째 원정은 실패했다. 그는 실패 이유를 정보부족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래서 그는 지난해 1월 남극점 원정에 성공한 뒤 예정했던 에베레스트 재등정 계획을 취소하고 북극점 원정 준비에만 매달려 왔다. 지난해 8월엔 베이스캠프를 차릴 캐나다 레졸루트(북위 74.9도)에 직접 사전 답사를 다녀왔다.
이번 북극점 원정대는 모두 7명. 이 중 100kg이 넘는 썰매를 끌고 북극점까지 직선거리 780km(실제거리 2000km 이상)를 걸어야 하는 탐험대는 박 씨를 포함해 4명.
“정예 멤버만 모였어요. 대원이 많으면 힘을 써야 할 때(얼음산인 ‘난빙’ 통과 등)는 도움이 되지만 보조를 맞추지 못하는 대원이 있으면 정말 피곤해요. 막내(정찬일 대원)만 빼고 모두 저하고 몇 번씩 히말라야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한 후배들이에요. 훈련을 혹독하게 했는데 모두 잘 따라줘 믿음직합니다.”
![]() |
박 씨는 원정 중 대원들에게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대원들로부터 ‘고집불통’이라는 원망을 듣기도 한다.
“26세부터 등반대장을 맡아 왔어요. 대장의 판단에 대원 전체의 생명이 왔다 갔다 합니다. 그동안 7명의 아까운 생명을 잃었어요. 대장이 고집 피울 땐 다 이유가 있는 겁니다. 대원들이 그걸 알아줬으면 해요.”
박씨에게는 동갑내기 아내(홍경희 씨)와 아들 성우(15), 성민 군(10)이 있다. 가족들은 위험한 곳만 찾아 떠나는 그를 어떻게 생각할까.
“이젠 포기했겠죠 뭐. 지난해 10월엔 두 아들과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에 다녀왔어요. 집사람이 자기만 빼놨다고 좀 삐쳤지요. 부모님이 걱정이에요. 어머니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원정을 떠날 때면 가지 말라고 현관에 드러누우셨어요. 그런 어머니를 모른 체하고 집을 나설 때면 억장이 무너지는 듯했죠. 누나 3명이 뉴질랜드에 삽니다. 부모님이 거기 가 계셔서 20일 인사를 드리고 왔습니다.”
박 씨는 24일 캐나다 현지로 떠나 3월 5일 워드헌트 섬(북위 83.2도)을 기점으로 북극점 원정에 나선다. 도착 예정일은 5월 6일. 북극점을 밟으면 박 씨는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히말라야 8000m급 14좌 완등+세계 7대륙 최고봉 등정+남극점 북극점 에베레스트 도달)’의 주인공이 된다. 북극점은 전설적인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 씨(62·이탈리아)조차 세 번이나 도전했지만 실패한 곳.
그랜드슬램 대기록을 세우고 나면 또 갈 곳이 있을까? “무궁무진해요, 세계지도를 펴 놓으면 가슴이 뜁니다. 일단 북극점에 갔다 와서 하나하나 풀어 놓을게요.”
박 씨는 이미 북극점 다음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의 원정의 종착점은 어디일까.
전창 기자 jeon@donga.com
▼히말라야 7차례원정…요트세계일주…정예만 모인 북극원정대▼
![]() |
박영석 탐험 대장이 ‘정예 멤버’라고 자랑하는 원정대원들은 누구일까? 홍성택(39·파고다아카데미·장비촬영담당) 오희준(35·영천산악회·식량담당) 정찬일(25·용인대 4년·의료 인터넷중계담당) 강동석(36·미국 공인회계사·행정담당) 전창 씨(40·동아일보 스포츠레저부 기자·기록담당)가 그 주인공. 홍 씨는 용인대에서 유도선수로 활약하다 산 사나이가 된 케이스. 히말라야 8000m급 원정만 7차례나 한 베테랑이다. 오 씨는 1999년 초오유(해발 8021m)를 시작으로 히말라야 8000m급 6개를 등정했다. 막내 정 씨는 지난해 엄홍길 씨가 이끄는 원정대의 일원으로 히말라야 로체샬(8400m)을 등반했다. 베이스캠프인 레졸루트에서 행정 업무를 보는 강 씨는 1997년 3년 7개월간의 항해 끝에 요트로 단독 세계일주를 한 바다 사나이.
'好學의 人生 > (사람)인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석]‘수영 말아톤’ 김진호군 어머니 유현경 씨 (0) | 2010.05.30 |
---|---|
[초대석]이에리사 태릉선수촌장 (0) | 2010.05.29 |
[초대석]‘한국축구의 희망’ 박주영 (0) | 2010.05.29 |
[초대석]‘경영행정’ 펼치는 이명박 서울시장 (0) | 2010.05.29 |
[초대석]월드비전 긴급구호팀장 한비야 씨 (0) | 201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