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韓國歷史/[한국觀光]

국보 제1호 숭례문

好學 2009. 3. 28. 22:20

 

 

 

 

숭례문(남대문)


국보 제1호
지정일:1962.12.20  소재지: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가 29 
시대:조선 태조 소유자: 국유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본문설명

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세종 29년(1447)에 고쳐 지은 것인데 1961∼1963년 해체·수리 때 성종 10년(1479)에도 큰 공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문은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석축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두고, 그 위에 앞면 5칸·옆면 2칸 크기로 지은 누각형 2층 건물이다.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붕을 우진각지붕이라 한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그 형태가 곡이 심하지 않고 짜임도 건실해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지봉유설』의 기록에는 ‘숭례문’이라고 쓴 현판을 양녕대군이 썼다고 한다. 지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서울 성곽 중에서 제일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보충설명

서울 성곽(城郭)의 정문으로 문 이름은 숭례문(崇禮門)이며 태조(太祖) 7년(1398)에 창건된 후 세종(世宗) 29년(1447) 크게 개축(改築)되었다. 이 문은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木造建物)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석축(石築) 중앙에 홍예문이 있고, 그 위에 정면(正面) 5칸, 측면(側面) 2칸의 중층(重層) 문루(門樓)를 세웠으며, 지붕(屋蓋)은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다.

기둥 위에 짜여진 공포는 다포식(多包式)으로 힘이 있고 간결한 살미첨차가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수법(手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 문은 외관(外觀)이 장중(莊重)하고 내부구조(內部構造)가 견실(堅實)하여 수도(首都)의 성문(城門)으로 당당한 면모(面貌)를 지닌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대표적(代表的) 건축(建築)이라 할 수 있다.

 

 

 

 

 

국보1호  숭례문의 어제와 오늘

 

 
 


한성도
한양의 성을 나타낸 지도입니다. 중앙에 동그랗게 표시해 놓은 부분이 한양성이고 빨간 동그라미들이 한양의 문들인데 대문이 4개 소문이 4개 있습니다.(나머지 하나는 모르겠음)
한양성의 가장 아래부분에 큰 산이 하나 걸쳐있는데 그 산이 남산이고 남산 때문에 남대문은 정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남산 왼편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합니다.
지도의 맨 아래부분 진하고 굵은 검정색으로 가로 질러 있는 것이 한강입니다. 한강에는 돗단배들도 다니는군요 ^^;










숭례문 바로 안쪽
기와집들이 많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한양에는 인구밀도가 무척 높았다고 합니다.




남대문통
남대문통입니다. 숭례문 바로 안쪽에 성벽을 타고 있었다고 합니다. "남대문통"이라는 명칭은 일제때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남대문역(지금의 서울역)으로 들어오는 일본군





일본인 거류지역으로 가는 일본군





전차 개통 당시





숭례문 우립


숭례문 우좌

"우립"과 "우좌"는 "소가 섰다", "소가 앉았다"라는 뜻의 한자입니다. 별 내용아닙니다. ^^;





숭례문 칠패(시장)





1897





1897원경





1900년대








1910





1950





한국 전쟁 직 후
전쟁으로 숭례문은 전체적으로 내려 앉아서 완전히 해체해서 다시 조립하는 대공사를 하게됩니다.





보수 공사가 끝난 모습..


 

 

 100년전의 숭례문

 100 년전의 숭례문

 

 


 









숭례문 바로 안쪽
기와집들이 많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한양에는 인구밀도가 무척 높았다고 합니다.




남대문통
남대문통입니다. 숭례문 바로 안쪽에 성벽을 타고 있었다고 합니다. "남대문통"이라는 명칭은 일제때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남대문역(지금의 서울역)으로 들어오는 일본군





일본인 거류지역으로 가는 일본군





전차 개통 당시





숭례문 우립


숭례문 우좌

"우립"과 "우좌"는 "소가 섰다", "소가 앉았다"라는 뜻의 한자입니다. 별 내용아닙니다. ^^;





숭례문 칠패(시장)





1897





1897원경





1900년대








1910





1950





한국 전쟁 직 후
전쟁으로 숭례문은 전체적으로 내려 앉아서 완전히 해체해서 다시 조립하는 대공사를 하게됩니다.





보수 공사가 끝난 모습..



 

 

 

 6.25 전쟁후의 숭례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의 숭례문

  

 

 ;

2008년 2월10일의 화재로 사라져가는 국보1호

 

 

 

 

  

 

 

  

Mam T.S. -  용서하세요

 남대문 폐허를 곡함 
 
머리 풀고 울어에야 하리
옷 찢어 던지며 분해야 하리
오호 통재
이 하루아침 남대문 폐허를
어찌 내 몸서리쳐 울부짖지 않으랴
돌아보라
6백년 연월 내내 한결이었다
이 도성 남녀노소들 우마들
이 나라
이 겨레들이 모진 삶과 함께였다
혹은 청춘의 꿈 안고 설레어 여기 이르면
어서 오게 어서 오시게
두 팔 벌려 맞이해 온가슴인
나의 남대문이었다
혹은 산전수전의 나날 떠돌이 하다
여기 이르면
어디 갔다 이제 오느뇨
활짝 연 가슴 밑창으로 안아줄
너의 남대문이었다
단 하루도 마다하지 않고
단 하룻밤도 거르지 않고 지켜서서
숙연히
감연히
의연히
나라의 기품이던
저 조선 5백년
저 한민족 1백년의 얼굴이었다
온 세계 누구라도 다 오는 문 없는 문
온 세계 누구라도 다 아는
만방 개항의 문
정녕 코리아 나의 문
서울 사람의 눈빛 아니었던가
이 무슨 청천병력의 재앙이냐
이 무슨 역적의 악행이냐
왜란에도 호란에도
어제런듯 그 동란에도
끄떡없다가
이 무슨 허망의 잿더미냐
여기 폐허 땅바닥에 엎드려 곡하노니
여기서 주저앉지 말고 멈추지 말고
떨쳐 일어나
다시 바람 찬 천년의 남대문 일으켜낼지어다
여봐란듯이
저봐란듯이
만년의 내일 내 조국의 긍지 우뚝 세워낼지어다
        글  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