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나아갈 길’ 묻다
“이웃에게 다 퍼줘 교회 곳간 텅빈다”는 소리 더 많이 들렸으면…
《 최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의 분열과 대형화, 세속화 등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묵묵히 지역사회와의 나눔을 실천하는 교회들을 지난해 7월부터 조명해온 ‘다시 빛과 소금으로’ 시리즈가 막을 내린다.
▽김명혁 회장=한국 교회가 커진 것은 축복이자 동시에 불행이다. 어떤 집단이든 커지고 강해지면 정치인, 부자들과 결탁해 더 강해지고 더 부유해지려고 한다.
―일부 교회는 교회 세습과 호화 건축, 성추문 등으로 사회의 평균적인 도덕 기준조차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상원 교수=1970, 80년대 한국 경제가 고도성장을 할 때 교인 중 상당수가 사회적 성공을 거뒀다. 이들이 교회 평신도단을 구성하면서 효율주의 경쟁주의가 교회 담장 안으로 들어왔다. 이에 대해 목회자들이 직언하지 못했다. 장로단은 다수인데 교회 담임목사는 한 사람이라 압박에 굴복한 것이다.
―한기총 회장이 되면 ‘개신교 대통령’이 된다는 말도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손인웅 회장=한국 개신교는 1960년대까지 말 그대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교회가 사회의 성장지상주의에 제동을 걸기는커녕 함께 장단을 맞췄다. 일부 목회자에게 한기총은 교권(敎權)을 의미한다. 작금의 한기총 사태는 물질지상주의와 교권주의의 합작품이다.
▽이=한기총은 당초 권력기관이 아니라 교단의 연합체일 뿐이다. 여러 사회적 이슈에 개신교 입장을 종합해 공동으로 대변하고 내부 갈등을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곳이다. 현재 고등교육을 받은 목회자의 80%가 최저생계 수준의 극빈층에 몰려 있다는 통계도 있다. 한기총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참석자들은 한기총의 대안에 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공통분모는 ‘어떻게 하면 권력화하는 요소를 제거할까’라는 문제의식이었다. 개신교회 전체가 더욱 낮은 자세로 세상을 섬겨야 한다는 것에도 의견이 모였다.
―권력을 버리려면 교회가 일부러 가난해져야 하나? 어떻게 하면 교회가 가난해질 수 있을까.
▽김=가난과 나눔의 삶을 몸소 실천하는 큰어른이 한국 개신교에 열 분만 있었으면 한다. 과거에는 한경직 목사 등이 있었지만 불행히도 이제는 찾아보기 힘들다. 교회 안에도 법정 스님 같은 롤 모델이 필요하다.
▽손=목회자들이 강단에서 가난과 나눔의 문제에 목소리를 실어야 한다. 나눔의 물결이 일어나면 절로 해결될 것이다.
―가톨릭의 신뢰도가 높은 이유로 수도원의 전통이 꼽힌다. 개신교는 이런 정화(淨化) 시스템을 잃었다는 얘기도 있다.
▽손=건강한 교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회자들에게는 끊임없는 영성훈련이, 교계 전반에서는 영적 일치가 필요하다. 개신교가 가톨릭에서 분리된 것이 첫 종교개혁이었다면 제2의 종교개혁은 다시 하나가 되는 운동이어야 한다.
▽이=우선 목회자의 솔선수범이 중요하다. 둘째, 교회 차원으로 보면 한 해 예산 잔여분을 이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 해 교회를 운영하고 남은 돈은 전액 사회 구제나 선교비로 소진하고 새해는 늘 ‘0원’으로 시작한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돈이 모이면 누구도 집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끝으로 장로들의 삶이다. 장로들이 부유하게 살면서 자신의 삶은 돌아보지 않고 목회자에게만 청빈을 강요하는 경우도 많다.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모든 성도에게 적용되는 원리다.
▽김=과거의 고난과 가난, 겸손이 없어진 것이 개신교 타락의 큰 원인이다. 장로교의 경우 교단만 300개라고 한다. 하나님이 각 교단과 단체 대표자 300∼400명을 ‘잡아다가’ 7년은 길고, 7개월 동안 고생을 시키면 새로운 출발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까지 한다.
―취재 중 일부 목회자의 권위가 너무 크다는 것을 여러 차례 느꼈다. 교회 내부의 민주화도 절실한 것 아닌가.
▽이=성경은 목회자를 군림하는 자로 정의하지 않는다. 목회도 ‘말씀’을 갖고 교인들을 섬기는 것이다. 더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게 아니다. 모든 문제가 거기서 시작된다. 목사는 성도들을 섬기고, 교회는 이 세상을 섬기는 공동체라는 성경의 원리를 되새겨야 한다.
▽김=예수님을 닮아가려는 삶의 훈련이 필요하다. 이런 말을 하고 싶다. 설교는 은(銀), 신학은 동(銅), 이적(異蹟)은 철(鐵)이고 영성을 실천하는 삶이야말로 금(金)이다.
▽손=목회자가 조금 높은 곳에서 설교하는 것은 잘나서가 아니라 교인들을 잘 보라는 의미다. 목사님 스님 신부님 하니까 성직자들이 이상한 권위가 생겼다. 성직자의 권위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 전달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다.
―‘다시 빛과 소금으로’ 시리즈의 기획 의도는 교회에 대한 비판을 넘어 잘하는 모습을 조명해 교회의 건강한 발전을 유도하자는 것이었다. 어떻게 평가하나.
▽김=교계 신문도 아닌 종합일간지에서 한국 교회의 아름다운 모습을 집중 보도한 것부터 고무적이었다. 교계지가 아니어서 오히려 객관적 관점에서 제대로 보도한 것 같다. 요즘 같은 상황에 ‘내가 죽으면 교회가 산다’ ‘다 퍼줘 망해도 좋다’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것도 신선했다.
김명혁 한국복음주의협의회장(74·강변교회 원로목사),
손인웅 한국기독교사회복지협의회장(70·덕수교회 담임목사),
이상원 총신대 신학대학원 교수(57·기독교윤리학)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동아일보 사옥에서 한국 교회의 나눔과 발전을 주제로 대담했다. 》
왼쪽부터 손인웅 한국기독교사회복지협의회장, 김명혁 한국복음주의협의회장, 이상원 총신대 교수. 22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동아일보 회의실에서 만난 세 사람은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것 역시 간접적 비판 기능을 하는 균형감 있는 보도 방법”이라며 “‘다시 빛과 소금으로’ 시리즈는 이런 면에서 신선한 발상의 전환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한기총 대표회장 선거와 관련해 다시 소란한 상황이 재연됐다. 개신교에서 부정적인 양태가 반복되는 본질적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김명혁 회장=한국 교회가 커진 것은 축복이자 동시에 불행이다. 어떤 집단이든 커지고 강해지면 정치인, 부자들과 결탁해 더 강해지고 더 부유해지려고 한다.
―일부 교회는 교회 세습과 호화 건축, 성추문 등으로 사회의 평균적인 도덕 기준조차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상원 교수=1970, 80년대 한국 경제가 고도성장을 할 때 교인 중 상당수가 사회적 성공을 거뒀다. 이들이 교회 평신도단을 구성하면서 효율주의 경쟁주의가 교회 담장 안으로 들어왔다. 이에 대해 목회자들이 직언하지 못했다. 장로단은 다수인데 교회 담임목사는 한 사람이라 압박에 굴복한 것이다.
―한기총 회장이 되면 ‘개신교 대통령’이 된다는 말도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손인웅 회장=한국 개신교는 1960년대까지 말 그대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교회가 사회의 성장지상주의에 제동을 걸기는커녕 함께 장단을 맞췄다. 일부 목회자에게 한기총은 교권(敎權)을 의미한다. 작금의 한기총 사태는 물질지상주의와 교권주의의 합작품이다.
▽이=한기총은 당초 권력기관이 아니라 교단의 연합체일 뿐이다. 여러 사회적 이슈에 개신교 입장을 종합해 공동으로 대변하고 내부 갈등을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곳이다. 현재 고등교육을 받은 목회자의 80%가 최저생계 수준의 극빈층에 몰려 있다는 통계도 있다. 한기총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참석자들은 한기총의 대안에 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공통분모는 ‘어떻게 하면 권력화하는 요소를 제거할까’라는 문제의식이었다. 개신교회 전체가 더욱 낮은 자세로 세상을 섬겨야 한다는 것에도 의견이 모였다.
―권력을 버리려면 교회가 일부러 가난해져야 하나? 어떻게 하면 교회가 가난해질 수 있을까.
▽김=가난과 나눔의 삶을 몸소 실천하는 큰어른이 한국 개신교에 열 분만 있었으면 한다. 과거에는 한경직 목사 등이 있었지만 불행히도 이제는 찾아보기 힘들다. 교회 안에도 법정 스님 같은 롤 모델이 필요하다.
▽손=목회자들이 강단에서 가난과 나눔의 문제에 목소리를 실어야 한다. 나눔의 물결이 일어나면 절로 해결될 것이다.
―가톨릭의 신뢰도가 높은 이유로 수도원의 전통이 꼽힌다. 개신교는 이런 정화(淨化) 시스템을 잃었다는 얘기도 있다.
▽손=건강한 교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회자들에게는 끊임없는 영성훈련이, 교계 전반에서는 영적 일치가 필요하다. 개신교가 가톨릭에서 분리된 것이 첫 종교개혁이었다면 제2의 종교개혁은 다시 하나가 되는 운동이어야 한다.
▽이=우선 목회자의 솔선수범이 중요하다. 둘째, 교회 차원으로 보면 한 해 예산 잔여분을 이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 해 교회를 운영하고 남은 돈은 전액 사회 구제나 선교비로 소진하고 새해는 늘 ‘0원’으로 시작한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돈이 모이면 누구도 집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끝으로 장로들의 삶이다. 장로들이 부유하게 살면서 자신의 삶은 돌아보지 않고 목회자에게만 청빈을 강요하는 경우도 많다.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모든 성도에게 적용되는 원리다.
▽김=과거의 고난과 가난, 겸손이 없어진 것이 개신교 타락의 큰 원인이다. 장로교의 경우 교단만 300개라고 한다. 하나님이 각 교단과 단체 대표자 300∼400명을 ‘잡아다가’ 7년은 길고, 7개월 동안 고생을 시키면 새로운 출발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까지 한다.
―취재 중 일부 목회자의 권위가 너무 크다는 것을 여러 차례 느꼈다. 교회 내부의 민주화도 절실한 것 아닌가.
▽이=성경은 목회자를 군림하는 자로 정의하지 않는다. 목회도 ‘말씀’을 갖고 교인들을 섬기는 것이다. 더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게 아니다. 모든 문제가 거기서 시작된다. 목사는 성도들을 섬기고, 교회는 이 세상을 섬기는 공동체라는 성경의 원리를 되새겨야 한다.
▽김=예수님을 닮아가려는 삶의 훈련이 필요하다. 이런 말을 하고 싶다. 설교는 은(銀), 신학은 동(銅), 이적(異蹟)은 철(鐵)이고 영성을 실천하는 삶이야말로 금(金)이다.
▽손=목회자가 조금 높은 곳에서 설교하는 것은 잘나서가 아니라 교인들을 잘 보라는 의미다. 목사님 스님 신부님 하니까 성직자들이 이상한 권위가 생겼다. 성직자의 권위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 전달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다.
―‘다시 빛과 소금으로’ 시리즈의 기획 의도는 교회에 대한 비판을 넘어 잘하는 모습을 조명해 교회의 건강한 발전을 유도하자는 것이었다. 어떻게 평가하나.
▽김=교계 신문도 아닌 종합일간지에서 한국 교회의 아름다운 모습을 집중 보도한 것부터 고무적이었다. 교계지가 아니어서 오히려 객관적 관점에서 제대로 보도한 것 같다. 요즘 같은 상황에 ‘내가 죽으면 교회가 산다’ ‘다 퍼줘 망해도 좋다’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것도 신선했다.
동아일보에서
'好學의 時事 > [교회소식]본이 되는 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회 교회건축·디자인 박람회 (0) | 2012.11.05 |
---|---|
李대통령 제43회 국가조찬기도회 인사말씀 (0) | 2012.04.17 |
<29>서울 성북동 덕수교회 (0) | 2012.03.15 |
<28>과천 소망교회 (0) | 2012.03.15 |
<27>고양 거룩한 빛 광성교회 (0) | 201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