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學의 漢字文學/[생활한자]

[한자 이야기]<963>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好學 2010. 9. 8. 22:00

 

[한자 이야기]<963>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맹자는 利보다 仁義를 우선해야 하는 적극적인 이유를 위와 같이 말했다.

군주가 利를 추구하지 않고 몸소 仁義를 행하면 아랫사람이 교화되어 군주를 친애하고 받들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何必曰利章의 이 문장은 같은 짜임의 어구를 나란히 두는 對仗法(대장법)을 사용했다.

未有는 ‘지금까지 결코 ∼이 있지 않았다’는 말이다.

遺는 버릴 棄(기)와 같다.

後는 급하게 여기지 않음이다.

고려 말의 李穀(이곡)은 ‘趙苞(조포)의 忠孝에 대해 논한 글’에서 ‘임금과 어버이 사이에는 선후의 관계가 있는가?

임금에 대한 충성과 어버이에 대한 효성 사이에는 본말의 관계가 없는가?’라는 두 문제에 대해 논술했다.

조포는 후한 때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선비족의 공격을 막아내는 공을 세웠지만 어머니와 아내가 적에게 살해되는 것을 방치했다.

이곡은 효와 충에는 선후가 있다고 했다.

‘주역’ ‘序卦傳(서괘전)’에서 ‘천지가 있은 뒤 만물이 있고 만물이 있은 뒤 남녀가 있으며, 남녀가 있은 뒤 부부가 있고 부부가 있은 뒤 부자가 있으며, 부자가 있은 뒤 군신이 있고 군신이 있은 뒤 상하가 있으며, 상하가 있은 뒤에 예의를 둘 곳이 있게 된다’고 말한 것에 근거한다.

한편, 이곡은 효와 충은 事로 보면 둘이지만 理로 보면 하나라고 논했다.

이것은 ‘효경’ ‘廣揚名(광양명)’章의 ‘어버이를 효성스럽게 섬기기 때문에 그 효성을 임금에게 옮겨 충성을 바칠 수 있다’는 말에 근거한다.

이곡은 후한의 당시 군주가 충성을 바쳐야 할 만한 군주가 아닌데도 조포가 구구한 절의에 사로잡혀 어버이 섬기는 효도를 다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최근 이웃나라에서는 이욕 때문에 노부모를 유기하는 일이 많다고 한다.

이곡은 이 일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